도내 학교 운동부 해체가 너무 많은 듯하다. 2015년 13개, 2016년 38개, 2017년 53개, 2018년 48개, 2019년(9월 기준) 43개교다. 5년 동안 없어진 학교 운동부가 무려 197개에 달한다. 해체로 떠난 운동부 학생의 수는 862명이다. 경기도 의회 황대호 의원이 밝힌 자료가 이렇다. 학습권을 강조하는 세태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지만, 그렇더라도 상상 이상으로 많다. 당연히 해체 규모의 적정성이 논의될 수 있다. 목적ㆍ절차가 정당한가에 대한 궁금증이다.
이를테면 고양의 한 초등학교가 2017년 수영부를 해체했다. 기존 수영코치가 사임해 공백이 생겼다는 이유를 든다. 수영부를 해체할 정도로 수영코치 자원이 없다는 얘긴데, 이해가 안 된다. 김포의 한 중학교는 지난해 축구부를 해체했다. 28명의 선수가 있었다. 선수 수급이 어려웠다는게 해체 사유다. 선수 수급이 어느 날 갑자기 막혔다는 설명인지, 역시 의문점이 든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많은 학교의 운동부 해체가 이렇게 의아한 이유로 없어졌다.
혹시 이 모든 게 교육청의 정책적 결과물 아닌지 의구심도 든다. 테니스 명문인 평택의 한 중고등학교를 보자. 중학생 2명, 고등학생 9명이 운동하고 있었다. 여기서 3명이 팀을 이탈했다. 이탈의 이유는 경기도 교육청의 최저학력제 시행, 대회 출전 일수 제한 등이었다. 자연스런 선수 이탈로 볼 수 없다. 3명의 이탈 후 선택을 보면 알 수 있다. 1명은 서울로, 1명은 해외로, 1명은 천안으로 운동 여건을 찾아 떠났다. 스스로의 선택과는 무관한 이탈인 것이다.
5년이면 이재정 교육감의 재임기관과 겹친다. 우리가 운동부 무더기 해체와 교육청 정책의 연관성을 캐묻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 ‘공부하는 운동부’는 최근의 흐름이다. 학습권에 대한 지극히 당연한 방향이다. 그런데 엘리트 스포츠를 꿈꾸는 아이들에겐 다른 문제다. 아이들과 학부모들이 자유롭게 선택한 미래다. 그 선택의 이유는 아이들의 머릿수만큼이나 다양할 수 있다. 이걸 획일적으로 단절시키는 정책은 미래 선택권에 대한 또 다른 침해일 수 있다.
여기에 해체 과정에 대한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학부모와 일부 지도자들이 부적절한 여론 수렴 과정을 문제 삼고 있다. 진정한 의견이 왜곡됐다고 주장한다. 진지하게 들여다봐야 한다. 주장의 진위를 분명히 밝히고 가야 한다. 혹여 이 주장이 사실이면 당해 학생과 학부모, 지도자에게는 대단히 중요한 선택권 박탈일 수 있다. 이 모든 의혹과 잡음의 시작은 유난히 많은 경기도의 운동부 해체에 있다. 학습권과 선택권의 간극을 고민해보기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