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식 서구발전협의회장, "수도권매립지 각종현안 환경부가 직접 나서라"

“수도권매립지의 각종 현안에 대해 환경부가 직접 나설 것을 요구합니다”

김용식 (사)인천서구발전협의회 회장은 27일 경기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최근 2025년 수도권매립지의 무조건적인 종료와 대체매립지 조성과 관련해 환경부가 직접나서줄 것을 환경부장관에게 촉구 했다”며 “또 환경부가 수도권매립지공사(SL)를 통해 수도권매립지(매립지)의 사용기한 영구화 논란을 일으켰기에 환경부장관은 이에 상응하는 해명과 사과를 해야 한다”고 이같이 주장했다.

이어 “환경부가 4자 회의를 납득할만한 이유도 없이 일방적으로 무기한 연기해왔다”며 “4자 회의 재개와 운영에 대한 약속도 필수”라고 했다.

또 김 회장은 중앙정부가 생산·유통 단계부터 폐기물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는 혁신적 정책을 추진해야 하고, 수도권 공동 대체매립지의 조성에 중앙정부(환경부)가 사업추진 주체로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도 요구 했다.

앞서 인천시는 현 매립지 개장 이후 27년 동안 다른 지역 쓰레기까지 처리하느라 환경피해가 심각하다며 2015년 환경부와 수도권 3개 시·도의 ‘4자 협의체 합의’에 따라 2025년에는 현 매립지의 문을 닫겠다고 여러 차례 밝혀왔다.

하지만,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한 대체매립지 조성은 환경부와 관련 지자체, 주민 등 여러 이해관계자 사이 의견차이와 갈등으로 논의의 진척이 지지부진하다.

특히, 수도권 3개 시·도는 대체 매립지 후보지의 연구용역을 마쳤지만, 해당 지역주민의 반발을 우려해 후보지 8곳이 어디인지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 처럼 인천시는 대체매립지 조성사업이 부진해지자 인천 쓰레기만 따로 처리할 수 있는 자체 매립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함께 검토하고 있다.

김 회장은 “환경부는 인천시가 검토하고 있는 자체 매립지와 관련해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자체매립지를 조성하려는 자치단체의 노력에 대해 지지하고 지원해야 한다”며 “이 같은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시 물리적인 행동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 9월25일 맺은 인천시장과 경기도지사의 ‘공정사회, 자원순환 일류도시를 위한 공동발표문’은 존중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길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