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형 신도시 조성 ‘6대 정책 방향’ 수립…공공임대주택 35% 이상, 교통 대책 선 수립 등

경기도가 3기 신도시를 ‘미래 자족형 도시’로 조성하기 위한 6대 정책 방향을 설정했다. 경기도는 공공임대주택 대폭 확보, 교통 대책 선 수립, 산업단지 물량 지원 등을 제시하며 자족 기능ㆍ교통ㆍ환경을 비롯한 1~2기 신도시의 문제점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경기도는 이 같은 정책을 본격 준비ㆍ추진하기 위한 ‘미래 자족형 3기 신도시 조성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ㆍ가동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TF는 3기 신도시 사업에서 경기도형 주거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의 수도권 주택 공급 정책으로 진행 중인 3기 신도시 택지개발 사업에서 도내 공급 물량은 24만 호이며, 도는 남양주 왕숙1ㆍ왕숙2, 하남 교산, 과천 등 4개 지구(10만 500호) 건설사업에 공동 사업시행자로 행정 지원을 맡고 있다. TF는 도청 21개 부서, 경기도교육청, 경기도시공사, LH 등으로 구성됐으며 사업시행자로서 주도적인 계획 수립과 중앙정부ㆍ지방자치단체ㆍ시행자 간 통합 소통창구 역할을 한다.

TF 구성 후 지난 6일 첫 회의에서는 ‘경기도의 3기 신도시 정책 추진 방향’이 논의됐다. 지난달 말 이재명 도지사의 승인이 끝난 정책 방향은 ▲자족(판교테크노밸리 모델로 산단 물량 지원 및 첨단 산단 중복 지정) ▲교통(철도ㆍBRT 등 교통 대책 선 수립) ▲주택(공공임대주택 비율 35% 이상) ▲PM(전동 킥보드ㆍ전기 자전거 활성화) ▲학교(입주 시기 고려한 학교 설립) ▲친환경(자연친화단지 조성) 등 6가지다.

TF는 지난달 15일 공동주택지구 지정이 완료된 이들 4개 지구 이외에 추가 지정이 예정된 고양 창릉ㆍ부천 대장ㆍ안산 장상 등 총 7개 지구를 대상으로 지구계획 승인 시점까지 운영된다.

도 관계자는 “3기 신도시 조성 과정에서 친환경 교통수단 확대, 저영향 개발(LID), 지역 재투자 등 민선 7기 주요 정책을 구체화할 것”이라며 “1ㆍ2기의 문제점을 보완해 자족 기능이 강화된 도시로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