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하반기부터 방과 후 돌봄을 위해 관련 시설을 일일이 방문하지 않고도 ‘정부 24’에서 검색과 신청까지 한 번에 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11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제15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온종일 돌봄 원스톱 서비스 제공 추진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서비스는 현재 운영 중인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와 함께 내년 상반기 시범운영 예정인 ‘임신지원’ 원스톱 서비스에 이은 네 번째 원스톱 서비스다.
원스톱 서비스로 제공하는 돌봄 서비스는 교육부의 학교 내 돌봄인 ‘초등돌봄교실’과 보건복지부의 지역 기반 돌봄인 ‘다 함께 돌봄’ 및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지역아동센터’, 여성가족부의 청소년 활동지원을 위한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등 4가지다.
올해 6월 기준으로 돌봄 교실은 6천 개교 29만 명(73%), 다 함께 돌봄과 지역아동센터는 4천 개 10만 명(25%), 방과후아카데미 300개 5천 명(2%) 등 총 1만 개 시설에 39만 명이 이용 중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돌봄 서비스가 부처별로 서비스를 따로 제공하면서 온라인 신청이 안 되어 이용자들의 불편이 크다는 것이다. 때문에 현재는 각 부처 누리집을 찾아 관련 정보를 알아보고, 직접 돌봄시설에서 이용 신청을 해야 한다.
이에 행정안전부와 교육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는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온종일 돌봄 원스톱 서비스 제공 추진계획’을 마련하게 됐다.
이 결과 학부모의 편의를 위해 부처별로 분산돼 있던 돌봄정보를 정부대표포털 ‘정부 24’로 통합해 한 번에 PC나 모바일로 정보검색이 가능해진다.
또 희망지역과 아이 나이, 돌봄희망 시간대를 입력하면 조건에 맞는 돌봄시설을 볼 수 있으며, 지도보기를 누르면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역 내 다른 돌봄시설 현황도 알 수 있고 각각 신청현황이 공개되어 이미 마감된 곳과 신청 가능한 곳을 파악할 수 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