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친환경 교통환경 조성 및 스마트 교통 환경 구축 위해 C-ITS 도입 등 추진

인천시가 오는 2029년까지 지역 내 중요교차로 227곳을 스마트 교차로로 만드는 등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을 구축한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ITS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14일 밝혔다.

시는 고화질 폐쇄회로(CC)TV와 인공지능(AI)을 적용해 혼잡도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 교통정체를 개선하는 스마트교차로를 도입한다. 2022년까지 시범으로 46곳을 만들고, 2029년까지 227곳으로 확대한다.

시는 2022년까지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하는 신호제어 무선통신 인프라도 구축하고, 2029년까지 모두 119곳의 교차로에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교통신호를 보여주는 LED 바닥신호등도 설치한다.

또 신호등이 자동으로 보행자를 인식해 교통신호를 바꾸는 감응식 신호제어시스템도 도입하고, 종전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을 확대해 모바일 및 내비게이션에 실시간 교통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시는 돌발상황관리를 위해 교통사고 예보시스템을 구축하고, 교통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찾아주는 지능형 돌발상황검지 시스템도 마련한다.

주차정보시스템 고도화 사업도 벌인다. 시는 개별주차장의 위치와 주차가능 공단 등의 정보를 수집해 인터넷을 통해 시민이 맞춤형 정보를 받고, 자동으로 주차료까지 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현재 2천317곳의 버스정류장에 설치한 버스정보시스템은 장기적으로 교체해 시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습 불법 주·정차지역에 설치한 불법 주·정차 관리시스템도 자동시스템으로 개선한다.

특히 어린이 및 노인 보호구역엔 자동으로 어린이·차량에 경고할 수 있는 교통약자 통행안전 시스템을 도입, 어린이·노인이 안심하고 다닐 수 있는 도로환경을 만든다.

이 밖에 단계별로 차세대 ITC 시스템(C-ITS)을 구축에도 집중한다. C-ITS는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차량과 교통시설, 차량과 차량, 차량과 시민 등 모두에게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시 관계자는 “기본계획 용역을 토대로 인천만의 ITS 구축 정책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교통안전과 사람 중심의 교통으로 변화하는 정책 방향을 담겠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