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혁’ 연내 목표로 창당 박차
이언주·이정현 각자 신당 구상
여야가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오른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하는 선거법 개정안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보수진영에 ‘신당 창당 바람’이 불고 있다.
이는 자유한국당이 이달 초 보수대통합을 제안한 것과는 반대로 가는 것으로, 보수가 뭉치는 것이 아닌 오히려 쪼개지는 양상을 보이면서 내년 21대 총선 선거 지형이 더욱 복잡해지는 모습이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보수통합의 주요 대상으로 삼고 있는 바른미래당 비당권파 모임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변혁)은 연내 창당 계획을 밝혔다.
변혁은 전날 신당추진기획단 회의에서 다음달 8일 중앙당 발기인 대회를 개최하고, 연내를 목표로 창당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26일 변혁 의원 회의에서 중앙당 발기인 대회 안건을 추인받고, 이달 말까지 시·도당 8곳에 창당기획단을 구성한다고 권은희 신당추진기획단장이 설명했다.
바른미래당은 소속 의원 28명 중 15명이 소속된 변혁이 신당을 창당하면 13명이 남게 되지만 이중 비례대표 3인(박주현·이상돈·장정숙)은 이미 민주평화당 혹은 대안신당에서 활동중이어서 당세는 더욱 작아질 전망이다.
앞서 무소속 이언주 의원(광명을)은 ‘보수 4.0’ 혹은 ‘자유 4.0’, ‘자유와 민주 4.0’ 등의 당명으로 신당을 만들겠다고 밝혔고, 무소속 이정현 의원도 ‘테크노크라트’(전문 관료)와 40대 이하 청년층이 중심이 된 신당을 빠르면 내년 2월 중순까지 만든다는 계획을 피력했다.
이같은 보수 신당들의 창당 움직임은 한국당이 제기한 보수대통합 논의가 제대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과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선거법 개정안이 동시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한국당의 보수대통합 추진은 현재 선거법 개정안과 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법안의 패스트트랙 저지에 우선순위를 두면서 뒤로 밀려 있는 모습이다. 엿새째를 맞고 있는 황교안 대표의 단식투쟁이 패스트트랙 저지의 핵심이 되고 있다.
또한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면 소수 정당도 득표율에 따라 비례대표를 배출할 수 있다는 점도 보수진영의 주요 인사들이 통합보다는 신당 창당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이 무산될 경우에는 몸값을 키워 보수통합에 합류할 수 있다는 전략도 담겨 있다.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에서 “‘정당 난립’, ‘국회 분열’, ‘정치권 혼란’이라는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폐해가 벌써부터 드러나고 있다”면서 “지금 사실상 정당다운 정당이 몇 개나 있는가, 오늘날 국회도 사실 ‘떴다방 다당제’ 수준이다”고 주장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