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울음 소리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올해 3분기(7~9월) 출생아 수가 7만 명대에 머물며 3분기 기준 역대 최소 기록을 새로 썼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국 출생아 수는 7만 3천793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6천687명(8.3%) 줄었다. 이는 1981년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래 3분기 기준 최소 기록이다.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은 3분기 0.88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0.08명 떨어졌다. 합계출산율도 3분기 기준으로 2008년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저치다.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3분기 0.96명, 4분기 0.89명으로 내려앉고 나서 올해 1분기 1.01명으로 회복했다. 그러나 2분기 0.91명, 3분기 0.88명으로 다시 떨어졌다. 우리나라 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 2.1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통상 4분기에 출산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올해 합계출산율은 작년에 이어 또다시 1.0명을 하회할 뿐만 아니라 작년(0.98명)보다 더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라며 “여성이 가임기간 동안 아이를 1명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한편, 9월 출생아는 2만 4천123명으로 1년 전보다 1천943명(7.5%) 감소했다. 출생아 수는 지난 2016년 4월부터 올해 9월까지 42개월 연속으로 같은 달 대비 최저 기록을 경신 중이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