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이르면 다음 주 차기 국무총리와 법무부 장관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총리 후보로는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수원무)이 유력하며, 법무부 장관 후보로는 같은 당 추미애 의원이 검증을 마무리 짓고 사실상 확정 단계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29일 복수의 여당 관계자에 따르면, 청와대는 다음 주 역대 최장수 총리 기록을 이어가고 있는 이낙연 총리의 교체를 공식화할 것으로 보인다.
4선 의원의 김진표 의원은 참여정부 당시 경제부총리와 사회부총리를 지낸 여권 내 ‘경제통’으로 꼽힌다. 문재인 정부 집권 중반기 운영 방향이 ‘경제’에 초점이 맞추어진 만큼, 경제통 관료로 꼽히는 김 의원의 역할론에 정치권이 거는 기대가 크다는 분석이다.
김 의원도 지난 25일 기자들과 만나 “(총리에 지명되면) 문재인 정부가 성공할 수 있도록 공직 생활에 있어 더 크게 기여하고 헌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판사 출신인 추 의원은 개혁 성향이 강한 5선 의원으로, 민주당에서는 검찰개혁에 힘을 실을 수 있는 인사라는 점에서 추 의원을 청와대에 추천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인사 시기와 관련, 자유한국당이 29일 본회의를 앞두고 무제한 토론인 필리버스터(합법적 의사진행 방해)를 신청하는 등 국회가 파행 조짐을 보이는 점이 개각 시기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당초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법을 비롯한 검찰개혁 법안의 부의 시점인 다음 달 3일(다음 주 화요일)에 부의·처리되는 것을 전제로, 다음 주 후반께 개각을 발표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그러나 한국당의 필리버스터 결정으로 국회 의사일정 전체가 안갯속으로 빠져들면서 이런 개각 시기에도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는 시각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공석인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다음 주 ‘원포인트’로 먼저 발표하고, 총리후보자의 경우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법안 처리 이후에 발표하는 방식의 ‘순차개각’도 가능하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편 다른 장관들에 대한 교체 발표는 더욱 미뤄지는 분위기다.
청와대는 총리 교체에 맞물려 일부 장관들을 함께 바꾸는 ‘중폭 개각’을 염두에 뒀지만, 최근 검증 문턱이 높아지면서, 총리와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제외하고는 후임자 물색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다른 장관들의 경우 후임자 발탁 및 검증이 완료된 뒤인 다음달 중순 이후로 발표가 늦어질 가능성이 거론된다.
정금민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