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교실에서 한국어 공부를 하고, 떡 만들기, 꽃꽂이도 배웠어요. 에버랜드ㆍ민속촌도 다녀와서 좋았고, 아나운서 체험도 재밌었어요.”
지난 29일 수원 지동초등학교에서 열린 ‘2019 수원시 글로벌 다문화 특성화교육 사업 성과보고회’에서 8개 글로벌 다문화 특성화학교에서 지난 1년 동안 진행된 프로그램과 참여한 학생들의 소감이 담긴 영상이 상영됐다.
중국 출신인 A양은 유창한 한국어로 다문화교실에 참여한 소감을 밝히며 “앞으로도 재밌는 프로그램을 많이 해 달라”고 말했다.
수원시는 2016년 2월 수원교육지원청, 경기대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4년째 글로벌 다문화 특성화교육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시가 사업비를 지원하고, 경기대 다문화교육센터가 사업을 총괄 운영하는 방식이다.
2016년 공모를 거쳐 지동ㆍ세류초등학교를 ‘글로벌 다문화 특성화학교’로 선정했고, 남수원초(2017년), 매산ㆍ화홍ㆍ효성초(2018년), 수원·오목초등학교(2019년)를 추가로 지정했다. 현재 8개 초등학교를 다문화 특성화학교로 운영하고 있다.
다문화 특성화학교는 전문 강사가 가르치는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교육, 특기적성교육, 상담, 체험학습 등을 운영한다. 학생들 요청을 반영해 학교 상황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특기적성교육, 체험학습 등은 한국 원주민 아이들과 함께하는 통합교육 프로그램으로 운영해 다문화 아이들과 원주민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시의 모든 초등학교 다문화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체능 특기ㆍ적성 교육’, ‘글로벌 인재양성 교육’ 등을 하는 ‘찾아가는 다문화 교실’도 운영한다.
맞춤형 한국어 교육에 참여한 8개 학교 다문화 학생들은 3월과 7월 두 차례 한국어능력 검정시험을 치렀다. 학생들은 평균 점수가 208점에서 255점으로 47점(400점 만점) 올랐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B군은 “공부가 많이 어려웠는데, 선생님이 잘 가르쳐주셔서 재미있게, 신나게 공부했다”고 말했다. 몽골 출신 한 학생은 “게임하고, 한글 공부하고, 친구들이랑 같이 있고, 선생님이랑 같이 있고, 모든 게 다 좋았다”며 활짝 웃었다.
성과보고회에 참여한 한 학부모는 “아이가 한국어 실력이 많이 늘어 친구들과 잘 어울리고, 학교생활도 즐겁게 하고 있다”며 “수원시가 다문화 특성화교육에 더 관심을 기울여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즐겁게 학교생활을 하고,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했다. 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