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이 검찰과 출입기자단의 관계를 다룬 MBC 탐사보도 프로그램 'PD수첩'에 "허위, 왜곡 보도를 했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대검 대변인실은 4일 "(전날 보도된) 차장검사 브리핑, 문자메시지 등을 통한 공보는 국민 알권리 보장, 오보방지 등을 위해 공개적으로 진행했던 당시 공보준칙 등에 따른 정상적인 공보활동이다"라고 설명했다.
전날 'PD수첩'에서는 양승태 사법부의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 사건, 조국 전 법무장관 일가 비리 의혹 사건과 관련한 언론 단독 보도들이 대부분 검찰과의 카트텔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내용을 보도했다. 악어와 악어새처럼 서로 공생하는 관계에 있다는 내용이었다.
대검은 그러나 "'PD수첩'이 발언 여부에 대한 진위 확인도 곤란한, 음성을 변조한 복수의 익명 취재원을 내세워 일방적인 추측성 내용을 방송한 것은 검찰 및 출입기자단의 명예를 훼손하기 위한 악의적인 보도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면서 방송 내용들을 조목 조목 반박했다.
방송에서 제기한 의혹 중 서울중앙지검 3차장 명의의 문자풀 부분은 공개소환돼 조사 중인 양승태 전 대법원장의 귀가 일정을 출입기자단 간사의 구두 문의에 응해 답변해 준 것이고, 출입기자단 간사는 그 내용을 전체 기자단에 공유해 준 것이라고 했다.
또 헌법재판소 관련 이메일 압수수색을 설명한 부분은 헌법재판소라는 곳을 압수수색했다는 내용으로 오보가 난 이후, 재판소를 압수수색한 것이 아니라 파견판사 이메일 계정을 압수수색한 것이라는 취지로 오보를 정정해 준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밖에 모 판사 소환 조사와 관련해선 "이미 언론 보도가 있었고, 기자 진위를 묻는 기자에게 소환 조사 경과를 확인해 준 것"이라는 설명을 내놨다.
대검은 "'PD수첩'은 대검 대변인이 'PD수첩' 취재에 답변한 사실이 전혀 없음에도 마치 대검 대변인이 직접 인터뷰를 한 것처럼 허위 보도했다"며 "또한 경찰 조사 직전 모 검사가 경찰 출입 기자 앞에서 인터뷰한 상황을 마치 검찰 출입기자단의 문제인 것처럼 왜곡 보도했다"고 밝혔다.
장영준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