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재선충병 경기지역 4.7%↑

가평ㆍ양평 지역에 소나무재선충병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산림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8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도내 소나무 4만2천825그루에서 재선충병이 확인됐다. 이는 2017∼2018년 4만901그루보다 1천924그루(4.7%) 증가 한 것이다.

도내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은 2014∼2015년 8만235그루로 정점을 찍은 뒤 적극적인 방제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4년 만에 다시 늘었다.

특히 가평과 양평지역 방제가 시급한 상황이다. 양평지역은 1천13그루에서 2천593그루로 1천580그루(156.0%), 가평지역은 87그루에서 138그루로 51그루(58.6%) 증가했다. 가평군 자체 통계로는 지난해 1∼12월 159그루에서 올해 521그루로 무려 362그루(227.7%)나 늘었다. 이 때문에 가평군은 방제 예산을 올해 6억5천만 원에서 내년 13억 원으로 두 배 늘렸다.

가평군 관계자는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이 증가한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며 “적극적인 방제로 확산을 막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소나무재선충은 크기가 1㎜ 안팎으로 실처럼 생겼다. 구멍을 통해 소나무나 잣나무 조직으로 침투한 뒤 수분 흐름을 막아 말라 죽게 하며 감염되면 100% 죽을 정도로 치명적이다. 솔수염하늘소나 북방수염하늘소 등이 매개충으로 알려졌으며 이들 곤충이 소나무류에 낳은 알이 우화해 다른 나무로 이동하면서 재선충까지 함께 옮겨 감염시키는 방식이다. 국내 소나무재선충병은 1988년 부산 금정산에서 처음 확인됐으며 도내에서는 2006년 광주, 남양주, 포천에서 처음 발생한 뒤 급속히 확산해 2014년 정점에 이른 뒤 매년 감소했다.

김창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