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주민이 인천시의 서울지하철도 7호선 청라 연장 사업비 조달계획에 반발하자 송도 외 지역에서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송도 주민은 시가 청라 연장 사업에 송도 수익금을 투입한다며 반대하고 있고, 원도심 주민은 지역이기주의라는 입장이다.
20일 시에 따르면 7호선 청라 연장선은 석남역에서 청라역까지 10.7㎞ 구간을 연장하고 6개 정거장을 짓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만 1조3천억원에 달한다. 사업비는 국비 60%와 시비 40% 비율이다.
송도 주민은 당초 시가 시 부담액을 일반회계로 하겠다고 했지만, 최근 특별회계(송도 수익금)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바꿨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일부 송도 주민 사이에서는 시가 송도의 특별회계 수천억원을 7호선 청라 연장 건설비로 내려고 한다며 원색적인 비난도 나온다.
일반회계는 자치단체가 세금을 기반으로 한 일반 예산이며, 특별회계는 사업에 따라 특수한 목적을 위한 수입·지출을 일반회계와 분리해 독립적으로 운영·관리하는 것이다.
하지만 원도심 지역에서는 이같은 상황에 지역이기주의라는 시선을 보내고 있다.
원도심 주민 김성곤씨(58·가명)는 “원도심 주민을 포함한 인천시민의 세금이 송도에 들어가 매립비용 등 도시개발을 위한 초기 투자가 이뤄진 것 아니냐”며 “송도 개발 이익금이라고 하더라도 그 자산을 송도 발전만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은 말이 안 된다”고 했다.
이어 “인천시 전체의 재원과 행정력 등이 현재의 송도가 자리 잡은 데 일조한 만큼, 지역 균형발전을 외면하지 않았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시 관계자는 “국토교통부로부터 기본계획 고시를 승인 받을 때 시비 부담액은 일반회계, 특별회계, 지방채 등으로 구성한다고 했다”며 “일반회계에서 특별회계로 한다는 일부 송도 주민의 주장은 맞지 않다”고 했다.
이어 “7호선 청라 연장 사업비는 시의 재정 상황을 고려해 관계부서와 협의하는 단계”라며 “아직 시 부담액을 어떤 예산으로 할 지 정해진 것은 없다”고 일축했다.
강정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