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쓰레기 수거·처리실태 분석
남동구 소래포구·강화군·옹진군 해안가
생활폐기물·폐어구 등 구석구석 ‘수북’
부녀회·청년회·군대 인력 등 동원 필요
접근 어려운 지역 선박 이용 수거 절실
인천 앞 바다가 관광객 등이 버린 생활폐기물과 해안가로 밀려온 해안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더욱이 생활폐기물과 해안쓰레기가 마구 뒤섞여 인천시와 군·구 등이 치우는데 애를 먹고 있다.
27일 인천연구원이 해안쓰레기 수거 및 처리실태를 분석한 결과, 남동구 소래포구, 강화군, 옹진군 앞바다 지역은 관광객 등이 버린 생활폐기물과 해안가로 밀려온 해안쓰레기가 뒤섞여 수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해양쓰레기 수거 인력의 나이가 많고, 수거를 위한 접근이 어려운 곳에서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는 해양쓰레기의 양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구는 용유·무의지역에 집하장이 없어 해양쓰레기를 방치하고 있으며, 무게가 적은 그물이나 스티로폼을 처리할 업체를 찾기도 쉽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강화군은 어민의 협조가 부족해 수거량 자체가 적은 문제를 안고 있다.
옹진군은 자월면 내 무인도 등에 해양쓰레기가 많이 쌓여 있지만, 수거 인력과 예산이 부족한 상태이다. 폐어구·어망 등의 배출량이 점차 늘어나는 연평면에서는 수거 업체의 처리량 한계, 예산 부족 등의 문제로 해양쓰레기를 제때 처리하지 못하면서 악취 민원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원은 부녀회, 이장단, 청년회 등 마을 단체 등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수거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아울러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대해 선박을 이용한 수거 방안 등을 검토가 필요하다고 봤다.
특히 군사지역이 많아 수거가 어려운 서해5도 일부 지역은 군대 인력 등을 활용해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도록 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폐어구와 폐스티로폼 부표 등의 관리를 강화하는 것과 동시에 종전 해양쓰레기 수거작업을 개선하고 바다지킴이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해양쓰레기 자원화 시설 확충을 통한 자원순환 체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앞으로 해양쓰레기 전용 소각로 신설 또는 기존 생활폐기물 소각로 증설 방안 등을 검토해야 한다”며 “시가 나서 해양쓰레기 관리 강화를 위한 조례 및 처리 가이드 라인 제시해야 한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