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평균 1만명 방문하지만 열 감지 카메라 한 대도 없어
손소독제·방역소독 의존 전부 市 “교통공사만 지원 불가능”
1일 평균 1만여명이 몰리는 인천종합버스터미널에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는 열감지 카메라 등의 검역 장비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터미널은 당장 코로나19 확진자가 거쳐 가더라도 검역에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
13일 인천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2019년 기준 1일 평균 이용객이 1만1천200명에 달하는 인천터미널에서 현재 운영 중인 열감지 카메라 등의 검역 장비가 단 1개도 없다. 최근 확산 중인 코로나19는 대표적인 증상이 발열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모이는 인천터미널에서는 발열 증상을 확인할 방도가 없다.
이 때문에 교통공사는 바로 옆 롯데백화점 인천점으로부터 이동식 열감지 장비를 빌려 1일 1회(10분)만 이용객의 발열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인천터미널의 경비 직원 1명이 담당하고 있다. 당장 인천터미널을 감염병으로부터 지키는 것은 손소독제와 수시로 이뤄지는 방역 소독뿐이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우리도 시민의 안전을 위해 열감지 카메라를 두고 싶지만, 2천만원에 달하는 장비 구매 비용을 당장 확보할 방도가 없다”며 “장비를 임대하려고 하더라도 월 200만원의 임대료를 감당하기 어려운 게 큰 문제”라고 했다.
이 때문에 인천터미널을 찾아오는 이용객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다른 지역으로 넘어가거나 인천으로 찾아오는 사람이 모이는 인천터미널의 특성상 최소한의 검역 장비도 없다는 것은 감염병에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A씨(27·남동구)는 “터미널은 사람들이 많이 왔다갔다하는 데다 이용객들이 버스를 타고 전국으로 나가니, 검역과 방역을 더 철저히 해야 하는 곳”이라며 “당장 인천터미널에 코로나19 확진자가 나타나도 막을 장비조차 없는 것 아니냐”고 불안감을 호소했다.
이 같은 문제를 두고 교통공사는 최근 열감지 카메라 등 검역 장비 구매를 위한 예산 지원을 시에 요청했다. 하지만 시는 교통공사가 알아서 할 일이라며 예산 지원을 거부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 산하에 많은 공사·공단이 있어 교통공사에만 검역 장비 관련 예산을 지원할 수 없다”며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 예산 지원을 검토해 보겠다”고 했다.
김민‧김보람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