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덕원~동탄 복선전철 영통입구역 신설 반대 청원, 5천명 돌파 임박

▲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인덕원~동탄 복선전철의 영통입구역 신설을 반대하는 ‘경기도민 청원’ 참여 인원이 5천 명을 넘을 전망이다. 청원 참여자들이 사업 변경에 따른 착공 지연을 지적하는 가운데 영통입구역을 요구하는 지역주민과 ‘민민 갈등’이 우려된다.

14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민 청원’ 홈페이지에는 ‘인동선(인덕원~동탄 복선전철) 노선 변경 및 영통입구역 신설에 반대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이 등록됐다. 해당 글은 이날 오전 10시 기준으로 참여 인원 4천952명으로 집계됐다.

경기도민 청원은 이재명 도지사가 직접민주주의 강화를 위해 도입한 제도며, 청원 등록 30일간 5만 명 이상의 도민이 지지할 경우 이재명 지사 혹은 관련 실ㆍ국장이 직접 해당 내용을 답변해야 한다. 인동선 청원은 지난 2일 등록, 다음 달 3일까지 4만5천여 명을 더 모아야 답변 자격이 충족된다.

청원인은 글을 통해 “수원 영통 일부 주민들이 폭탄 민원을 넣으며 끈질기게 요청하는 영통입구역은 수많은 시민의 염원을 짓밟는 행동이다. 인동선 원안대로 조기ㆍ정상 착공을 촉구한다”며 “(영통 일부 주민의 폭탄 민원은) 역사 추가뿐만 아니라 노선 변경도 같이 이뤄져야 하는 만큼 인동선 9공구(영통역 인근)가 지연, 인동선 전체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영통입구역은 이전역(영통역)과 다음역(흥덕역) 간 거리가 매우 짧은 구간이라 불필요한 구간이고, 선로와 역사를 추가로 신설해야 하는데 이것은 모두 수원시에서 큰 예산을 추가로 더 들여야 하는 부분”이라며 “인덕원 노선이 착공되길 눈이 빠지게 기다리는 수원(북수원ㆍ우만ㆍ영통ㆍ용인), 화성 동탄, 의왕(호계ㆍ고천), 안양은 물론이며 해당 노선을 환승 이용할 수 있는 분당선, 1호선, 4호선 권역 수많은 시민에게 매우 해를 끼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영통입구역을 요구하는 주민들은 “영통입구역은 영통 교통난을 해결하기 위해 수년 전부터 지역 주민에게 약속한 것”이라며 “총선 전에 구체적인 계획을 보여달라”고 호소했다. 이들의 건의가 받아들이려면 영통입구역이 접하는 수원ㆍ용인시 간 예산 분담 합의, 반대 여론 설득을 위한 인동선 전체 영향도 분석 등을 도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사업은 지하철 4호선 인덕원역에서 동탄 신도시를 철도로 연결하는 것이다. 총 사업비 2조 7천억여 원을 투입하며, 총 연장은 37.1㎞다. 이르면 올 상반기에 노반 실시설계를 착수하고, 2022년 착공ㆍ2026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승구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