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 등 6가지 전략 마련…인천연구원, 남북평화 협력 시대 평화도시 인천 비전 및 전략 연구

인천시가 ‘평화도시 인천’으로 발돋움하려면 제도적 뒷받침과 함께 관련 연구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은 25일 ‘남북평화협력시대 평화도시 인천 비전 및 전략 연구’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제도적으로는 시 관련 조직과 조례 및 제도 등에 대해 정비를 해야 한다고 봤다. 평화도시 인천 조성을 위한 정책 기반 마련이 필요한 탓이다.

또 평화도시 인천 조성을 위해 체계적·종합적 연구를 할 수 있는 연구 기반도 함께 확대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정책 추진 기반과 정책 연구 기반 정비를 통해 서해에서의 역할과 중요성을 높이고 인천발 평화 담론과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의 인천 주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본 것이다.

특히 연구원은 평화도시 조성의 성과 공유·확산을 통해 인천이 한반도 평화와 남북교류협력을 선도하는 도시로 국내·외적인 자리를 잡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연구원은 모두 6가지의 전략도 제언했다.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 전략을 위해 공동어로구역 및 평화수역을 지정하고, 수산자원의 공동 활용 및 한강하구 인천권역상 평화기반 조성 등을 추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다만, 연구원은 인천~개성~해주 평화관광벨트나 평화크루즈 노선 개발 등을 장기사업으로 분류했다. 대북 관련 인프라 구축이 끝나야 추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밖에 연구원은 ‘남북한 산업·경제 상생발전 기틀 마련’, ‘평화시대에 대비한 한반도 물류수도 구현’, ‘평화와 번영을 위한 남북교류협력 활성화’, ‘시민과 함께하는 평화·통일 교육’, ‘평화도시 네트워크 및 민관협력’ 등도 전략으로 꼽았다.

연구원 관계자는 “인천은 남북 정상 간 합의사항 실현의 핵심지역”이라며 “‘동북아 평화번영의 중심’이라는 시정목표 설정과 인천 평화도시 정책의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