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코로나19·정치테마주 집중 감시

시장감시위원회 주요사업 추진 계획…정치테마주, 스팸 SMS, 알고리즘 감시 등

▲ 한국거래소1
▲ 한국거래소. 사진/경기일보 DB

한국거래소가 코로나19 관련 종목과 총선 정치테마주에 대한 시장 감시를 강화한다. 허위 과장 정보를 담은 스팸 SMS에 대해서는 투자주의종목 지정 제도를 도입하고, 알고리즘 거래 감시 종합관리 방안을 수립해 당국에 건의할 계획이다.

26일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0년 주요사업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시장감시위원회는 지난달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주가·거래량이 급등한 40여 개 종목을 집중 관리한다. 사이버 감시, 불건전주문 계좌에 대한 예방조치, 시장경보발동 및 투자유의안내 등 예방활동을 전개하고 이상거래 혐의가 있으면 해당 종목에 대해서는 신속한 거래분석 및 심리를 실시할 계획이다.

21대 총선 ‘정치 테마주’ 등 관련 종목에 대해선 기획감시, 공매도 및 사회적 이슈사건 등에 신속히 대응할 예정이다.

또 시장감시위원회는 최근 증가하는 기업사냥형 불공정거래 등 신종 불공정거래를 조기 탐지하고 신속하게 혐의 여부를 판단할 방침이다. 상장기업 인수 등 기업을 타깃으로 한 불공정거래를 집중 모니터링하고, 기업사냥꾼의 문어발식 기업인수에 대비 종목 간 연계감시를 병행한다. 기업사냥형의 단계별로 혐의전력자 개입 여부, 기업공시, 언론보도, 매매내역 등을 종합분석 후 필요하면 즉각 심리에 착수해, 신속하게 혐의 여부를 확정할 계획이다.

허위·과장을 담은 매수추천 스팸 SMS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스팸 SMS 관련 투자주의종목 지정 제도를 도입해 대응할 예정이다. 유사투자자문업자가 제공하는 투자정보에 대해서는 직접 모니터링을 확대해 선취매를 통한 매매차익 취득 등 사이버 부정거래 단속을 강화할 계획이다.

시장감시위원회는 알고리즘 거래 시장감시 기법을 업그레이드한다. 알고리즘 계좌 전담 감시요원제를 도입하고, 기존 심리사례 및 해외사례 분석 등을 통해 알고리즘 계좌에 대한 효율적인 심리분석 기법을 개발할 계획이다. 알고리즘 거래의 특성을 반영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알고리즘 거래 감시 종합관리 방안을 수립해 금융당국에 건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감리 및 회원제재 관련 기준과 프로세스를 정비하고, 회원사의 규정준수 여부 점검을 강화하며,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와 연계한 투자자 보호 주간 캠페인을 개최할 계획이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