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확한 절차·통일성 없이 교육 과정 안내 등 단기지침만
교사들 “에듀넷ㆍEBS 교육 한계”… 실효성 있는 방안 촉구
교육부 “23일 개학 전제… 추가 연기 대비 대책 논의 중”
정부가 전국 유ㆍ초ㆍ중ㆍ고등학교 개학을 오는 23일로 2주 추가 연기한 가운데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개학 연기가 또 다시 이뤄질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교육부는 구체성이 떨어지는 단기지침만 내놓고 있어 학교 현장에서는 혼란이 발생, 관리 없이 방치된 학생들의 ‘학습결손’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3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달 28일에 이어 지난 2일 교육과정 안내ㆍ온라인 학습 제공 등의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일선 학교에서는 ‘뜬구름 잡기’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관리방안에 대한 명확한 절차나 통일성이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긴급돌봄서비스 등이 중점인 초등학교 이하와 달리, 입시 관련 주요 학습시기에 놓인 중ㆍ고등학교의 경우 학습관리 부재로 인한 문제는 더욱 크다. 실제로 학교마다 제각각 대처하는 탓에 대다수 학생이 코로나 감염 주의 외엔 별도 학습안내를 받지 못하거나 일부는 새학년 담임조차 전달받지 못한 실정이다.
올해 도내 한 고등학교에 입학했다는 A 학생은 “카카오톡 단체채팅방이 개설되긴 했지만 학습 관련 안내는 받지 못했다”며 “첫 고교 생활을 앞두고 걱정이 많은데 무엇부터 해야 할지 막막하다”고 털어놨다.
교육부의 단기지침으로 갈피를 못 잡고 있는 건 교사들도 마찬가지다.
교육계는 사태 장기화 가능성을 고려할 때 에듀넷ㆍEBS 등으로 계속 지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입장이다. 일선 교사들은 온라인 자습의 실효성과 정해진 바 없는 피드백 과정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중학교 교사 B씨는 “2주차부터 과제를 안내하고 피드백을 주라는데 가르친 것도 없이 어떻게 과제를 내느냐”며 “코로나 사태가 언제 끝날지 모르는데 이런 식의 단기지침은 혼란만 늘릴 뿐”이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고등학교 교사 C씨는 “3월 연합평가를 앞둔 고3 수험생의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며 “수시 접수 준비를 1학기 내에 마무리 지어야 하는데 사태가 길어지면 답이 없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이처럼 개학 연기에 대한 명확한 대책이 없어 주요 학습시기에 놓인 중ㆍ고등학생들의 학습결손까지 우려되면서 교육부 차원의 실효성 있는 학습관리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경기도교육청은 우선 교육부의 방침을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도교육청 관계자는 “일선 학교의 어려움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견 수렴 중”이라며 “교육부 방침을 따르되, 학생들의 학습권ㆍ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 23일 개학 전제로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지침으로 보일 수 있지만, 개학이 추가로 미뤄질 경우를 대비한 내부 논의 또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