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지역 인구 불균형 심각] 신-원도심 상생위한 도시정책 발굴 시급

운정신도시 유입 급증… 市 전체 인구의 48% 거주

파주시의 신도심과 원도심간 인구 불균형이 고착화 되고 있다. 신도시 개발이 한창인 운정신도시지역이 파주 전체 인구의 48%를 차지하며 급증 추세다. 반면 파평면 등 원도심은 인구 감소 추세가 뚜렷, 공동화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때문에 이같은 인구불균형으로 파주시의 도시계획 등 각종 정책 변화가 불가피하다. 인구저성장에 적합한 새로운 모델의 전략과 비전이 필요한 것이다. 본보는 파주시 인구의 현 실태와 전문가 제언 등을 짚어 보며 바람직한 도시 정책 방향을 설정해 보고자 한다.  

지난해 9월 말 현재 원도심인 적성면 총 인구수는 7천560명이다. 2014년 최고치인 8천130명에 비해 560명이 줄어든 숫자다. 2018년 7천683명에 비해 124명이 줄었다. 해를 거듭할수록 인구가 줄고 있다. 

반면 신도시개발이 한창인 신도심 운정3동은 같은 기간 7만1천431명으로 2014년 5만807명이 비해 2만624명이 증가했다. 2018년 6만9천98명이 비교하면 불과 1년만에 현 파평면 인구수에 육박하는 증가 폭을 나타냈다. 

이처럼 신도시개발로 유입인구가 증가세를 보이는 운정신도시 등 신도심지역(운정, 교하)에 비해 적성면 등 원도심지역은 지역소멸위험지수에 진입할 정도로 인구감소추세가 확연해짐에 따라 맞춤형 도시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3일 파주시가 발간한 ‘파주시정책지표’를 분석한 결과 파주시 전체 인구에 대한 지역소멸위험지수는 1.013으로 정상단계에 해당했다. 

하지만 소멸위험진입이 진행 중인 지역이 상당수가 있는 등 소멸위험도 차이가 뚜렷했다. 소멸지수는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노인인구로 나눈 지표로 이 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이 지수 수치가 낮으면 인구의 증가 등이 없으면 향후 약 30년뒤 해당 지역이 없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운정신도시(운정1~3동)는 소멸지수가 1.5 이상으로 소멸저위험지역으로 분류됐으며,교하읍, 월롱면, 금촌2~3동은 1.0~1.5 미만으로 정상 단계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원도심 지역은 대부분 소멸주의 및 위험진입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현면, 조리읍, 금촌1동, 문산읍은 0.5~1.0 미만으로 소멸주의지역으로 접어 들었고 파평면, 장단면, 법원, 광탄, 파주, 적성면은 소멸지수가 0.5미만으로 소멸위험지역으로 진입하는 등 지역 소멸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인구감소에 대한 지나친 불안보다는 ‘지역발전상생정책’을 도입해 위기극복에 나서야 한다는 견해를 내놨다.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박사는 “신흥개발지역인 파주처럼 수도권에서는 신도시 개발로 신도심과 원도심간 인구불평등 초래는 당연하고 한 도시내 지역간 교육, 문화 등 다양한 분야 격차 발생 또한 사실이다”면서 “이로 인한 극단적인 불안감 조성은 지역존재에 아무런 도움이 안된다. 대신 도시구조변동을 현실적으로 인식, 신도심과 원도심간 접근성이 용이하도록하는 방안 강구 등 새로운 도시정책을 강하게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태형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위원도 “파주는 물론 신도시가 들어서는 도시의 원도심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구감소를 초래하면서도 복원력은 절대 부족한 실정이다. 이는 결국 지역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진다”며 “인구감소시대가 뚜렷한 점을 감안, 이에 대비한 새로운 전력과 비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덕규 파주시 도시재생과장은 “파주 각 지역은 주민주도로 협동조합 등을 결성해 각각의 지역적 특성에 맞는 마을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눈 내리는 초리골 겨울축제 등 지역의 누적된 정보를 새로 창조하거나 묻혀 있고 잊혀져 있던 자산들을 발굴하고 있는 것”이라며 “리비교관광자원화, 화석정발굴사업, 이등병거리 조성 등을 각 마을추진사업과 연계해 시너지를 내도록 치밀하게 기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글_김요섭기자 사진_경기일보 DB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