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치매등록률 40%대로 지지부진…등록률 제고 방안 논의 필요

인천의 치매등록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8일 시에 따르면 2017년부터 치매국가책임제에 따라 보건복지부와 치매등록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지역사회에 사는 어르신의 인지건강 상태에 따라 필요로 하는 다양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치매조기검진을 통해 치매 어르신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다.

그러나 2019년 인천의 치매등록률은 4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의 추정 치매환자는 3만5천573명에 이르지만, 정작 치매등록을 한 환자 수는 1만5천365명에 불과하다.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치매등록률 역시 동구(52.2%), 강화군(51.4%), 서구(50.9%)를 제외한 나머지 군·구 모두 50%를 넘지 못하고 있다. 옹진군의 치매등록률이 31.9%로 가장 낮고, 뒤를 이어 남동구 32.2%, 부평구 37%, 연수구 39.9% 순이다. 계양구와 미추홀구, 중구의 치매등록률도 각각 41.1%, 45.3%, 45.6% 등이다.

인천의 낮은 치매등록률은 제도를 추진한 첫 시기인 2017년부터 이어지고 있다. 당시 인천의 추정 치매환자 3만2천193명 중 치매등록 환자는 1만4천620명으로, 45.4%의 치매등록률을 나타냈다.

특히 각 기초지자체마다 치매안심센터가 만들어지면서 체계적인 치매검진 및 등록을 시작한 2018년은 치매등록 환자가 1만2천235명에 그치면서 추정 치매환자(3만4천429명)의 35.5%에 불과했다.

이 같은 저조한 치매등록률에 대해 시는 치매와 관련한 부정적 이미지를 원인으로 꼽고 있다. 치매등록을 하려면 우선적으로 어르신이 치매 검진을 받아야 한다. 하지만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로 어르신들이 검진 자체를 거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치매를 조기에 검진하면 완치 및 증상 지연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치매안심센터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프로그램을 더욱 내실화해 치매 어르신에 대한 상담의 질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