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공공체육시설 운영 뺏기는 체육인

우려하던 상황이 현실화되어간다. 체육회가 관리하던 공공체육시설들이 체육회의 민영화를 시점으로 운영 주체 등 기타 예산의 공급마저 암흑으로 빠져들 기세다. 며칠 전 관련 기사를 접하면서 ‘올 것이 오는구나!’를 직감했다. 내용은 수원시의 공공체육시설 관리 주체가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수원도시공사로 일원화된다는 기사다.

수원시의원으로 구성된 연구회는 ‘체육시설 통합관리’를 제안했고, 시는 이를 바탕으로 공공체육시설 관리 주체를 수원도시공사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는 내용이다. 민선 체육회장 시대를 맞은 경기도 내 시ㆍ군 중 가장 먼저 수원시는 체육회가 관리하던 시설을 회수해 가는 행정을 펴는 것이다.

민선 시대를 맞은 전국 시ㆍ도 체육회의 가장 큰 과제는 안정적 예산 및 관리하고 있는 시설의 지속적 운영권 확보이다. 이 부분은 체육회직원들의 안정성에 대한 부분일 수도 있다. 또한, 체육인들의 전문성을 기초로 한 생활체육과 전문체육 기반의 토대이기도 하며 자존심이기도 하다. 그러나 체육회와 지자체 간의 신경전은 결국 직원들의 인건비 삭감 및 관리시설에 대한 타 기관 위탁이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경기도도 경기도체육회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는 경기도체육회관, 경기도사격테마파크장, 유도회관, 검도회관, 경기스포츠과학센터를 민선체육회장이 운영하는 경기도체육회에서 운영하는 것이 달갑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더 전문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관리 공단 등에 위탁하여 시설의 안정성 및 활성화를 확보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판단 할 수 있다. 수원시처럼 또 다른 정치 행정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본 저자가 가장 우려하던 부분이다.

민간회장은 자칫 체육회 직원 및 종목별 직원들의 거처조차 회장의 몫이 될 수 있다.

이제부터는 민선 회장이 끌고 가야 한다. 민선 회장이 지자체장과 혹여나 갈등이 있으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체육회 직원들과 체육인이 될 것이다. 아직은, 체육회 직원들도 민선체육회장도 지자체의 보조금에 전적으로 의존하기에 지자체와 원활한 관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활은 쏘아졌다. 이 모든 것들은 체육회가 겪어야 할 몫이다. 산재되어 있는 문제를 어떻게 개선하고 스포츠와 정치의 분리를 통해 체육의 독립성과 자율성 확립의 취지를 잘 살려 체육회만의 색을 만들어 가야 한다. 체육인 손으로 직접 뽑은 최초의 민선 체육회장이니만큼 태생적으로 안은 재정에 대한 문제가 자유로울 수 없지만, 체육의 넓은 의미로 경기도민, 나아가 전 국민 모두 건강하고 웃을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통해 민간법인화되는 체육회가 안정적으로 안착 되길 바란다.

안을섭 대림대학교 스포츠지도과 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