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민 100세 시대를 맞아 오는 2025년까지 ‘고령자 맞춤형 임대주택’ 8만 가구를 공급한다.
국토교통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주거복지로드맵 2.0’을 이행하기 위한 고령자 주거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이날 대책에는 고령자 복지주택 1만 가구와 고령자 전용 건설임대와 매입·전세임대 등 7만 가구 등 총 8만 가구를 고령자에 공급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고령자 복지주택은 65세 이상 저소득 노인을 위해 안전 손잡이, 높이조절 세면대 등의 무장애(barrier-free) 특화시설을 갖춘 주택이다.
노인 가구 중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 소득의 50% 이하 가구가 입주할 수 있다. 고령자 복지주택은 지난해부터 2022년까지 4천 가구가 공급되고, 이후 2025년까지 6천 가구가 추가된다. 올해 입주자를 모집하는 고령자 복지주택은 광양 칠성(150가구) 등 6곳 682가구다. 이중 영덕 영해(124가구)는 바람길을 고려한 쾌적한 단지계획이 적용돼 있고 물리치료실과 공동 세탁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신규로 건설되는 공공임대는 문턱을 제거하고 안전바를 설치하는 등 고령자를 위한 특화 설계가 반영된다.
매입임대도 리모델링 과정에서 신규 건설형 임대와 같은 특화설계가 적용된다.
국토부는 이미 공급된 고령자 공공임대에는 주거복지 전문인력을 배치하고 케어안심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주거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다.
올해는 영구임대 10개 단지와 매입임대 10개 단지 총 20개 단지에 주거복지 전문인력을 배치해 고령자와 취약계층에 밀착형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케어안심서비스는 요양병원 등에서 퇴원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방문 건강관리와 돌봄 서비스로, 국토부는 서비스 확대를 위해 관계기관 협업을 강화할 방침이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