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되면 어쩌죠”…지자체 ‘해외 입국자 특별수송’ 직원들 불안감 호소

정부가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모든 입국자에 대해 자가격리를 의무화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가 해외 입국자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하고자 ‘특별수송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해외 입국자들의 자택, 격리시설로의 안심귀가를 책임지고 있는 관계자들 사이에서 감염 위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전날 기준 국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총 9천786명 중 5.3%(518명)가량이 해외 유입 사례다. 경기지역의 경우 지난주(지난달 23~29일) 신규 확진자 129명 중 45%(58명)가량이 해외 입국자였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정부는 이날부터 해외에서 들어오는 모든 입국자에 대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최장 잠복기인 14일 동안 의무적 자가격리 조치를 내리기로 했다.

정부 조치에 발맞춰 도내 시ㆍ군 등도 부득이하게 자가용을 이용해 격리시설로 이동할 수 없는 시민들을 위해 콜밴과 전세버스 등을 투입, 발열과 기침 등 증상이 없어 공항 검역소를 통과한 무증상자들을 수송하는 ‘특별수송대책’에 나서고 있다. 수원시는 지난달 26일부터 관련 서비스에 나서 지난달 30일 기준 83명의 시민을 무사히 수원으로 복귀시켰다. 용인시와 성남시 등도 지난달 28일부터 수송대책을 진행 중이다.

이에 각 시ㆍ군에서 공항 현장으로 파견된 일부 공무원과 운수종사자 등이 감염 우려를 내비치고 있다. 발열과 기침 등이 없는 무증상자라도 해도 혹시나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보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담당 공무원 A씨는 “현장에서는 반드시 소독제를 들고 다니며 수시로 의류와 장비 등을 소독한다”며 “무증상자라고 해도 0.1%의 가능성으로 감염이 이뤄질 수도 있는 탓에 걱정되는 것은 사실”이라고 우려했다.

무증상자와 같은 차량을 탑승한 채 도착지까지 이동해야 하는 운수종사자들도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콜밴 운전기사 B씨는 “지자체에서 KF95 마스크와 라텍스 장갑을 받고, 운행 후 곧바로 차량 소독을 하는 등 예방에 최선을 다하는 중”이라며 “한 지자체의 경우 2~3회나 콜밴 업체들로부터 수송대책 계약을 거절당하기도 했다. 운수종사자들도 누군가는 해야 하는 일이라는 생각을 갖고 수송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일선 시ㆍ군 관계자는 “현장 직원들에게 방역용품 등을 가능한 범위 내 최대한 지원, 혹시 모를 코로나19 감염 예방에 집중하고 있다”며 “특별수송대책에 함께하는 운수업계에 대해선 추가적인 재정 지원 등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