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총선...민주당, GTX 등 광역교통 공약 힘입어 압승

통합당, 지역 무시한 막장 공천으로 자멸

인천시민은 4·1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을 선택했다. 민주당은 오후 10시30분 현재 13개 선거구 중 10곳 이상에서 앞서며 승기를 잡았다.

역대선거에서 민주당계 정당이 인천에서 압승을 거둔 것은 지난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역풍 이후 16년 만이다. 인천에서 민주당계 정당이 2자리수 의석을 확보하는 것은 이번 선거가 처음이다.

지난 10여년 간 인천은 거대 양당이 약 절반 가량의 의석을 나눠가지는 등 적절한 균형과 견제를 이어왔다. 지난 2012년 19대 총선에서는 총 12개 선거구에서 통합민주당과 새누리당이 각각 6석씩 나눠갔다. 이후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총 13개 선거구에서 민주당이 7석, 새누리당이 6석(무소속 출마 후 새누리당 복당 2석 포함)을 차지했다.

정가에선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이 압승한 요인에 대해 코로나19의 성공적인 방역을 이끌어 낸 문재인 정부에 대한 높은 지지율을 꼽았다. 코로나19 사태라는 위기를 선방하면서 정부의 각종 시책에 대해서도 유권자들이 높은 평가를 줬다는 것이다. 특히 코로나19로 국가적인 위기가 있는 상황에서 국난 극복을 위해 집권 여당에 힘을 몰아주자는 분위기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번 선거는 문재인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적 성격이 있었는데 대통령의 지지율이 높았기 때문에 전국 선거의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는 인천에서도 민주당이 압승할 수 밖에 없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코로나19에 대해 성공적으로 방역을 했다는 것이 대통령 지지율에도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도형 홍익정경연구소장은 “인천의 사전투표가 그 동안의 선거와 비교했을 때 높은 편이었음을 기억해야 한다”며 “사전투표가 높은 것은 부동층 비율이 줄었다는 것을 뜻한다. 코로나19 국면에서 국난 극복을 위해 집권여당에 힘을 주는 방향으로 부동층이 움직였던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와 함께 민주당 인천시당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노선을 비롯해 제2경인전철 등 광역교통망 확충을 제1공약으로 내세운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시민의 마음을 잘 헤아린 공약을 내걸면서 유권자의 표를 쓸어모았다는 해석이다.

반면 통합당의 완패 요인에 대해서는 중앙당의 막장 공천 탓에 자멸했다는 평가가 많다. 통합당은 곳곳에 전략공천을 하면서 이에 반발해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후보가 잇따른데다 일부 선거구에선 공천을 번복하기도 하는 등 곳곳에서 공천 파열음이 나왔다. 여기에 한 후보는 ‘인천 촌구석’ 발언을 해 지역 안팎에서 큰 비난을 받기도 했다.

통합당 내부에서조차 이번 공천에 대해 ‘지역을 무시했다’는 평가가 이어지기도 했다. 수년간 지역에서 발로 뛰던 후보나 경쟁력이 높은 후보를 무시한 채 경선도 없이 컷오프하고 전략 공천했기 때문이다.

정영태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통합당의 공천 번복 등으로 인한 공천 후유증, 막말 등이 이어졌다”면서 “통합당이 홈런은 아니더라도 안타, 번트 정도는 했어야 하는데 실제로 한 것은 자책골이었다”고 했다.

또 중앙이나 지역 모두에서 통합당이 코로나19 정국을 뒤집을 수 있는 이슈를 만들지 못한 것도 패배의 요인으로 꼽힌다. 통합당은 중앙당 차원에서 조국 전 법무부장관 심판 프레임, 경제 실패 프레임, 집권여당 견제 프레임을 내세워 선거에 돌입했다. 그러나 유권자들이 코로나19로 생사여부가 걸려있는 상황이다보니, 공정이나 경제 문제는 후순위로 빠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의 분석이다.

정 교수는 “중앙에서 이슈만들기에 실수했으면 지역에서라도 인물론 등을 통해 불리한 선거 정세를 뒤집어야 했다”며 “하지만 통합당은 유권자의 마음을 되돌릴 만한 이슈를 만들지 못했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