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가(IPA)가 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의 전문가, 주민 의견 수렴을 위한 라운드테이블을 발족하는 등 IPA 주도의 내항 재개발 사업의 신호탄을 쐈다. 그러나 인천시는 사업성을 추구하는 IPA측이 편파적으로 라운드테이블을 구성해 고밀도 개발 등의 우려가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28일 IPA와 시 등에 따르면 지난 27일 인천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사업의 자문 역할을 할 ‘인천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 라운드테이블’ 1차 회의를 했다. 라운드테이블은 IPA와 시, 중구, 협회 등 추천을 받은 각 분야 전문가와 시민 대표 등 모두 12명으로 구성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IPA가 추진 중인 ‘인천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화 계획 보완 용역’의 착수보고 및 앞으로의 방향 등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았다. 라운드테이블은 오는 8월까지 유지하며 이후 IPA는 9월 해양수산부에 보완한 사업계획을 제안할 방침이다.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화 계획 보완 용역은 해수부가 마련한 내항 재개발 마스터플랜(공공시설 50%대 유지)을 유지하면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방안을 찾아, 사업을 현실화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LH(한국토지주택공사), IPA, 시가 추진한 사업화 방안은 사업성이 부족해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가 어려워 사업 추진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IPA는 부지 조성부터 필지 공급까지 직접 추진한 후 개발사업자에게 분양하는 방식 등 IPA의 수익을 최소한 줄여 사업성을 확보하는 사업추진 방안까지도 검토할 계획이다.
하지만 시는 IPA가 라운드테이블을 편파적으로 구성했다고 반발하고 있다. 12명의 라운드테이블 인원 중 시가 추천한 인원은 2명(16.6%)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 소속 공무원은 라운드테이블에서 빠진 상태다.
반면 나머지 10명 중 IPA 추천 인원은 협회·항만업계 추천 인원 포함해 사실상 5명에 달한다. IPA 직원도 라운드테이블 간사로 참여한다. 앞서 LH, IPA, 시, 해수부의 1·8부두 사업화방안 시민협의회에서는 각 주체가 동일한 비율로 협의회 위원을 추천한 것과 대조적이다.
시는 이 같은 라운드테이블 구성이 고밀도, 사업성 위주의 1·8부두 항만재개발을 위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IPA는 사업화방안 용역에서 낮은 경제성을 극복하려면 수익 부지의 용적률을 높이고 비수익 부지를 상업시설로 용도를 변경해 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IPA가 라운드테이블에 배석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했지만 발족 당일에 전화로 배석조차 불가능하다는 의견을 줬다”며 “추천위원 비율 등을 감안하면 라운드테이블 구성 자체가 공정하지 못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IPA 관계자는 “IPA는 부지를 소유하고 있고 공공기관이기 때문에 예타만 통과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 수익이 제로라도 사업을 진행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지금은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찾는 용역이 착수한 시점으로, 고밀도 개발 등을 우려하긴 이르다”며 “시와는 매주 1회 태스크포스(TF) 회의를 하고 있다”고 했다.
이승욱·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