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로 두 달 넘게 교문을 걸어 잠갔던 전국 초ㆍ중ㆍ고교가 이달 13일부터 학년별 순차적으로 문을 연다.
우선 대입 준비가 급한 고3이 13일에 첫 등교 수업을 시작하고, 나머지 학년은 이달 20일부터 세 차례로 나눠 차례로 등교하게 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등교 수업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이달 6일부터 ‘사회적 거리 두기’가 ‘생활 속 거리 두기’로 전환되는 만큼, 등교 수업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중ㆍ고등학교의 경우 고학년부터, 초등학교의 경우 저학년부터 등교를 시작키로 했다. 20일에 고2ㆍ중3과 초 1∼2학년이 등교하고, 27일에 고1ㆍ중2와 초 3∼4학년이 등교한다. 마지막으로 6월1일에 중1과 초 5∼6학년이 등교한다.
유치원도 20일부터 문을 연다. 유치원은 코로나19 여파로 원격수업도 하지 않은 채 휴업 중이었는데, 원래 개학일인 3월2일 이후로 79일 만에 개학하게 됐다.
등교 수업의 구체적인 방식은 지역별ㆍ학교별로 달라질 수 있다.
교육부는 지역별 코로나19 추이와 학교별 밀집도 등 여건이 다른 점을 고려해 ▲학년ㆍ학급별 시차 등교 ▲원격수업ㆍ등교수업 병행 운영 ▲오전ㆍ오후반 운영 ▲수입 시간 탄력 운영 등을 각 시ㆍ도 교육청과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했다.
다만 정부는 어린이집 개원은 학교보다 보수적으로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김강립 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어린이집의 공식 개원 여부는 기본적으로 좀 더 보수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어린이집은 영아들도 보호하고 있고, 영유아는 코로나19라는 감염병에 더 취약할 우려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교육부의 등교 개학 일정 발표는 적절한 상황에서 최선의 선택과 결정”이라며 “도교육청은 단계 등교 개학을 하면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약의 경우에 대비한 사회적 거리 지키기, 손 씻기 교육과 훈련을 철저히 하고, 학교 안 방역뿐만 아니라 생활방역을 해나갈 수 있도록 학생들을 지도하고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생활방역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강현숙ㆍ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