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12개 하천(37㎞)을 대상으로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진행한 가운데 사업 2년 만에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경기도는 12개 하천의 수질을 점검한 결과 평균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사업 전 연평균 수질 6.7ppm(약간 나쁨)에서 사업 후 3.3ppm(보통)으로 개선됐다고 25일 밝혔다.
앞서 도는 2018년부터 용인 공세천(1.5㎞), 파주 금촌천(1.9㎞), 포천 포천천(5.0㎞) 등 10새 시ㆍ군 12개 하천을 대상으로 수질 정화용 수로, 생태탐방로, 여울, 생태습지, 교량, 배수통관 등을 조성했다.
수질이 좋아지면서 동ㆍ식물 생태 환경도 좋아졌다. 2017년 준공된 오산천의 경우 사업 시행 전과 비교해 조류는 16종에서 56종, 식물은 136종에서 241종, 어류 7종에서 17종으로 증가했다. 또 새매, 삵, 원앙, 황조롱이 등 법정보호종도 출현하면서 생물 다양성이 풍부해졌다.
도 관계자는 “도심하천을 쾌적한 휴식공간과 친수공간으로 만들어 달라는 주민 요구가 증가한 상황에서 이런 사례들이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해부터는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국고보조 사업에서 지자체 일반사업으로 전환됐다. 도는 올해 도의회와 협력해 전국 최초로 생태하천복원사업 지원 조례를 제정해 용인 신갈천ㆍ고양 벽제천 등 13개 시ㆍ군에서 17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