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칼럼] 믿음을 통해 발달하는 배달음식

기본적인 의식주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식생활 분야라 생각한다. 현재 코로나19 여파로 배달 앱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필자는 원래 배달음식에 대해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었다. 밥이라 하면 갓 지어 김이 모락모락 나고 따뜻해 계속 먹고 싶은 것이어야 하는데 배달음식은 다 식고 고명 등의 아름다움은 추구하지 못하고 배달 과정에서 흔들려 엉망진창이 된다 생각했다. 그리고 조리과정을 직접 보지 않기에 위생적인 면을 고려하지 않고 식자재도 오래된 것들을 사용할 것이라는 불신을 가지고 있었기에 배달음식을 선호하지 않는 편이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우리를 위협하며 외부활동 제한을 겪게 되면서 배달음식이 발달하고 만족도가 높은 것을 보며 지금은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처럼 변화한 외식 산업에 발맞춰 배달음식 용기도 중요해지고 있다. 일회용품을 많이 사용함에 따라 여러 기업들이 친환경적인 제품을 사용하려고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그리고 배달음식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온이 되고 음식이 흔들리지 않으며 위생도 생각하며 만들어야 하므로 이를 다 해결하려면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여기저기서 음식 관련 종사자들이 배달음식을 좀 더 나은 방법으로 소비자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발 벗고 노력하고 있으니 이제는 배달하지 않는다면 현재 상황 속에서 외식산업에서 살아남기란 힘들 지경에 이르렀다.

여기서 과연 배달음식을 통해 소비자들은 어떤 영향을 받고 있을지 생각해볼 수 있다. 배달음식을 통해 위에서 언급했듯이 편리함을 얻었다면 단점은 신뢰성이 없다는 것이다. 음식을 만드는데 사용된 식자재와 식당 위생 상태가 어떠한지 소비자들은 알 길이 없기 때문이다. 음식점 주인이 만약 위생 상태를 생각하지 않고 이익만 생각하며 음식을 만들었다면 소비자들은 위험한 상황 속에 노출돼 있다. 이런 점을 예방하기 위해 주문을 받음과 동시에 가게 주방 안의 CCTV와 연계가 돼 실시간으로 조리과정을 확인해보는 식의 해결방안도 고려해보면 좋겠다.

음식이라는 것은 음식을 만드는 사람과 그 음식을 먹게 되는 사람이 서로 신뢰를 하고 상호작용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지금 이 상황 속에서는 직접 만나는 것이 위험하므로 신뢰를 줄 방안을 생각해 음식을 만들고 배달한다면 소비자들도 좀 더 편한 마음으로 건강한 음식을 먹을 수 있다. 또한 신뢰가 쌓인 음식점은 코로나19 종식 이후에 좋은 이미지를 유지하며 높이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시흥 한국조리과학고 임종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