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더위의 절정을 알리는 초복이 왔다. 초복, 중복, 말복으로 불리는 삼복(三伏)을 잘 보내야 여름을 무사히 넘길 수 있다. 삼복은 보통 음력 6월과 7월 사이에 있는 절기이다. 하지가 지난 다음 셋째 경일을 초복, 넷째 경일을 중복, 입추 후 경일을 말복이라고 한다. 이 시기 가장 무더운 날씨를 가리켜 ‘삼복더위’라고 부른다. 예로부터 삼복에 더위를 이기기 위해 몸을 보하는 음식을 먹고 시원한 물가를 찾았다. 이를 복놀이 혹은 복달임이라고 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더위를 이겨내라는 의미에서 높은 관리들에게 쇠고기와 얼음을 하사했다. 일반인은 쇠고기가 귀해 개고기나 닭고기를 끓여 무더위에 몸을 보호했다. 필자도 어린 시절 어머니에게 육개장이라고 속아 개고기를 먹은 것이 보신탕의 시작이 됐다. 현재 복달임은 주로 허해진 기운을 보강하기 위해 보양식을 먹으며 더위를 물리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대표적 보양식은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단연 보신탕이다. 뒤를 이어 삼계탕, 닭백숙, 오리백숙, 민어탕 등이 있다. 우리 조상들은 ‘이열치열(以熱治熱)’의 방법을 주로 이용했다. 더운 복날에 열기가 많은 육고기를 끓여 먹는 방식으로 원기를 보충한 것이다. 하지만 조상들이 무조건 음식을 끓여 복달임 보양식으로 애용했던 것은 아니었다. 최근 예능프로그램 1박2일 체력증진 ‘영월여행’편에 임금과 양반들이 즐겨먹던 임자수탕(荏子水蕩)이 소개됐다. 임자수탕은 참깨를 불려 겉껍질은 벗겨내고 볶아서 곱게 갈아 체에 받친 깻국물에 영계를 삶은 육수를 섞고 닭살을 말아 차게 먹는 냉탕이다. 임자수탕은 궁중이나 양반가에서 즐겨 먹었던 복날 최고의 보양식이었다. 닭을 주재료로 하지만 뜨겁게 땀을 빼며 먹어야 하는 삼계탕과는 달리 시원한 냉국으로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닭육수를 차게 식혀 식초와 겨자로 간을 한 다음 살코기를 잘게 찢어서 넣어 먹는 초계탕도 여름 보양식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초계탕은 북한의 함경도와 평안도 지방에서 추운 겨울에 별미로 즐겼는데 요즘에는 많은 사람들이 여름보양식으로 즐겨 찾고있다. 몸과 마음이 지쳐가는 이때 자신에게 맞는 최고의 복달임 보양식으로 원기를 충전해 무더위를 떨쳐내 보자. 최원재 문화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