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호 평택시 부시장… 빛나는 조용한 가교 행정

이종호 평택시 부시장
이종호 평택시 부시장

“부시장은 ‘가교’(架橋) 역할을 하는 행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경기도와 일선 시ㆍ군을 이어주고, 자치단체 안에서는 단체장과 간부공무원, 직원들 간에 합리적 소통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잘 연결해주는 일이지요.”

이종호(59) 평택시 부시장이 부시장으로서 평소 자신의 역할론을 담아낸 목소리다. 이종호 부시장이 취임한 것은 지난 2018년 7월20일. 민선 7기 평택시 출범과 함께 시작한 지 벌써 2년이 넘었다.

이종호 부시장은 평택시 공직사회에서 “평택에서 나고 자란 평택시 공무원보다도 평택을 더 잘 아는, ‘평택통’”으로 통한다. 여기에는 평택시 시정 정반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 구석구석 현장을 누비는 발품을 팔며 보고, 듣고, 생각하는 시간을 많이 갖는 이유가 크다.

이 부시장은 주말을 평택시 행정에 반납한 지 이미 오래다. 이는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는 더욱 견고해졌다. 월, 화, 수, 목, 금, 금, 금이 무한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1주일치 빨레를 가져오거나 가져가기 위해 아내가 관사를 찾아오는 주말도 예외는 아니다.

이 부시장이 공직에 발을 들여놓은지 올해로 39년째. 행정에 원숙함이 물씬 풍기는 이유다. 도농복합도시, 급격한 개발도시, 주한미군 집결도시…. 평택시는 어느 하나로 특정지을 수 없는 도시다. 그만큼 행정도 복잡다단하다. 정치인 출신인 정장선 시장이 안심하고 행정을 펼칠 수 있는 이면에는 ‘믿는구석’으로 이 부시장이 자리하고 있다.

이 부시장은 국과장과 직원에게도 신망이 두텁다. 평택시 공직자는 온화하고 합리적인 성품에 실력까지 갖췄지만 있는듯 없는듯 조용하게, 빛나지 않는 조연행정으로 가교 역할을 다하는 이 부시장에게 많은 것을 배운다고 이구동성이다.

이종호 부시장은 “정책을 세울 때나 결재를 받을 때 정책에 대한 뚜렷한 목표가 없거나 보이지 않을 때 가장 답답하다”면서 “공정하고, 객관적이고, 여기에 효율성까지 더할 수 있는 것이 최고의 행정”이라고 말했다.

이종호 평택시 부시장
이종호 평택시 부시장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