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전문가 단체 성명 “나눔의 집, 위안부 문제 풀 길 틀어막았다”

각종 논란으로 도마에 오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지원시설 ‘나눔의 집’이 후원금 운용은 물론 할머니들의 생활과 명예 회복을 위한 활동 역사를 담은 기록물을 방치한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국내 기록전문가들이 13일 단체 입장을 표명했다.

이날 한국기록학회, 한국기록관리학회, 한국기록전문가협회,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는 ‘나눔의 집의 위안부 기록 방치ㆍ절멸 행위에 대한 기록전문가 단체의 입장’을 발표하고 “경기도 민관합동조사단의 노력에 의해 나눔의 집 문제점들이 낱낱이 밝혀지게 된 점에 대해 지지와 존경을 표한다. 또한 조사 결과에 의거해 강력하고 신속한 행정처분과 법적 조치가 취해지기를 바란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가 사회복지법인의 비리를 척결하는 차원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이 입장문을 통해 밝힌다”고 말했다.

이들 단체의 요구 사항은 크게 ▲나눔의 집 이사진과 간부들은 기록 방치ㆍ절멸의 책임을 스스로 물어 국민에게 사죄하고 즉각 사퇴해야 한다 ▲여성가족부와 경기도는 ‘위안부피해자법’에 명시된 국가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절멸된 기록을 포함해 현존하는 기록들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대한 즉각적인 보호 조치를 해야 한다 ▲국가기록원은 기록에 관한 전문성을 발휘해 여성가족부와 경기도의 보호 조치에 적극 조력해야 한다 ▲경기도 민관합동조사단은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기록과 관련된 조사결과를 하나도 빠짐없이 조속히 공개해, 국민적 관심하에 기록의 문제가 해결돼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등 4가지로 나뉜다.

이들은 할머니들의 삶과 투쟁 기록들이 나눔의 집 수장고, 교육관 1ㆍ2층 베란다, 생활관 1층 서가, 제1역사관 창고 등에 흩어져 통합관리가 되지 않은 것들을 지적하며 “(나눔의 집이) 역사 전승과 기록 정의에 눈감음으로써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할 길을 틀어막은 반역사적 행위”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또 “나눔의 집은 2019년 7월25일부터 8월2일까지 1주일 이상 할머니들의 방에 있던 소중한 기록들을 증축공사를 한다는 이유로 건물 바깥 주차장에 방치했다. 장마가 끝나지 않아 할머니들의 기록은 마대자루 등에 허술하게 쌓인 채 비를 맞아 훼손됐다”며 “이런 기록 중에는 국가지정기록물도 있는데 이곳저곳 허술하게 관리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조사단이 밝힌 이상의 기록 현실을 정부와 시민사회 모두가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판단한다”며 “기록을 이렇게 방치하고 절멸시키는 것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그리고 할머니들 한 분 한 분을 방치하고 절멸시키는 것과 다르지 않으므로 신속하고 강력한 조치가 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연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