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서울·부산·대구·광주·대전 등 6개 특·광역시 도시철도 운영기관
인천·서울·부산·대구·광주·대전 등 6개 특·광역시의 도시철도 운영기관이 정부 지원 없는 무임수송 제도의 부당성을 시민에게 알리기로 했다.
정희윤 인천교통공사 사장은 지난 5일 서울역에서 서울·부산·대구·광주·대전의 도시철도 운영기관장들과 긴급회의를 열고 이 같이 합의했다.
이들 기관장은 긴급회의에서 무임수송에 따른 비용을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고 명시한 도시철도법 개정안의 통과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에 뜻을 모았다. 현재 인천교통공사를 비롯한 6개 특·광역시의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노인복지법 및 장애인복지법 등에 따라 교통약자 등을 대상으로 무임수송 서비스를 정부 지원 없이 제공하면서 심각한 재정적 압박을 받고 있다.
앞으로 이들 기관장은 다음달 4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시민토론회를 열고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노동조합 관계자, 전문가, 일반시민 등 300여명을 초청해 무임수송 제도 및 비용 보전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또 노·사 합동으로 홍보포스터를 제작해 각 도시철도에 부착하는 등의 홍보 활동도 이어나간다.
정 사장은 “무임수송은 법에 따라 보편적 교통복지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이에 대한 비용 부담은 국가가 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했다. 이어 “입법기관과 정부부처의 전향적 자세 변화를 다시 한 번 촉구한다”며 “시민에게도 적극적으로 호소해 나가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