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종료 대비
인천시의 2025년 수도권매립지 매립 종료 선언에 맞춰 강화군이 지역내 생활쓰레기 수거 및 처리 대책 마련에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7일 군에 따르면 올해 강화지역 생활쓰레기 발생량은 1만88t으로 지난해 8천725t과 비교해 1천363t이 늘어났으며 이는 팬션 이용객 및 캠핑족 증가와 농막 및 전원주택에서의 쓰레기양이 증가한데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일회용품 사용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군은 관내 발생 생활쓰레기를 지난해까지만 해도 수도권매립지와 청라소각장으로 전량 반입돼 처리에 어려움은 없었으나 올해부터 반입 총량제가 시행되면서 연 949t을 배정받았다.
또 청라소각장도 반입 총량제가 적용돼 일 15t이 반입되고 있으나 하루 10t의 쓰레기가 처리되지 못해 쌓여가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군은 매립지 종료에 따른 쓰레기 대란에 대비해 생활쓰레기 발생부터 배출·수거·선별·재활용을 관리해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는 등 생활폐기물의 효율적·안정적 체계 구축에 집중할 계획이다.
우선 내년부터 운영되는 품목별 재활용 전용봉투 보급사업과 함께 재활용 동네마당(분리수거함) 설치, 취약지역 전담관리인 지정 등을 통해 쓰레기 재활용률 향상과 노인 일자리까지 확대한다.
또 불법쓰레기 투기 감시를 위해 환경서포터즈를 운영하고 상습투기지역엔 CCTV를 추가 설치하는 등 청결한 강화군을 만드는데 행정력을 집중키로 했다.
군 관계자는 “쓰레기 문제는 자치단체의 의지만으로는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군민 각자의 올바른 분리와 배출의 습관화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자원순환시설 현대화 사업에 발맞춰 지난 2011년 처리량보다 발생량이 적어 창라소각장 활용을 이유로 가동을 중단한 용정리 소각장의 활용 가능성 등을 검토하고 있다.
김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