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렌탈 업체에 취수부 소독 포함해 주기적 관리 하도록 권고
정수기에서 물이 나오는 코크만 청소해도 세균 번식을 막을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가정용 정수기 수질에 대한 위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상당수 가정집의 위생관리가 미흡했다고 13일 밝혔다.
조사대상 40가구 중 직수형ㆍ자가관리 1가구의 정수기 물에서 검출되지 말아야 하는 총대장균군이 검출됐다. 총대장균군은 사람과 동물의 장내에서 기생하는 대장균과 대장균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균의 총칭이다. 무해한 잡균으로 알려졌지만, 병원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먹는 물에서 검출되선 안된다.
일반세균은 평균 257CFU/ml(독자 번식이 가능한 세포군락의 수) 나왔다. 정수기와 관련해 일반세균의 기준은 없지만, 식수용 수돗물의 기준은 100CFU/ml로 규정하고 있다. 진균(곰팡이균)은 0~4CFU/ml 정도 나왔지만 안전한 수준이었고, pH도 6.7~7.8로 식수용 수돗물 기준 이내였다.
정수기의 물이 나오는 부분인 취수부(코크)를 살균 소독(83% 에탄올)한 후에 정수기 물을 담아 시험한 결과 소독 전에 검출됐던 총대장균군이 검출되지 않았다.
총대장균군이 검출됐던 1가구는 4년간 취수부 관리를 한 번도 하지 않아 코크에 검정색 물질이 묻어나올 정도였다. 하지만 소독 이후에는 총대장균군이 나오지 않았다. 일반세균은 소독 후 평균 126CFU/ml 수준으로 50.8%가 감소했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가정용 정수기의 위생관리 주체는 소비자”라며 “렌탈 업체의 청소 서비스 여부와 상관없이 정수기 주변, 취수부에 대한 주기적인 위생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은 정수기를 판매ㆍ대여하는 13개 업체 렌탈 케어 서비스에 취수부 소독을 포함해 주기적으로 관리하도록 권고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