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독감 예방접종 지속" 방침에도 중단...시민 혼란만 가중
전국에서 인플루엔자(독감) 예방접종 이후 시민들이 사망하는 사례가 잇따르는 가운데 정부가 독감 백신의 무해함을 강조하며 예방접종 사업을 지속하기로 했다. 하지만 대한의사협회의 예방접종 유보 권고에 따라 일부 병원에서 독감 백신 예방접종을 중단, 시민들의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25일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예방 접종과 관련해 국민께 염려를 끼쳐 드려 정부 당국자로서 진심으로 송구스럽다”면서 “방역 당국과 전문가 평가를 신뢰하고 안전 수칙을 준수하며 예방 접종을 받아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앞서 질병관리청은 지난 24일 예방접종전문위원회를 열고 독감 백신 예방접종 이후 발생한 사망사례를 검토해 예방접종과 사망사례의 인과성이 매우 낮아 접종을 지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정부의 독감 예방접종 지속 방침과 달리 경기ㆍ인천지역 일부 병의원에서는 대한의사협회 권고에 따라 독감 백신 예방접종을 중단하는 사례가 속출, 시민 혼란만 커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22일 예방 접종 후 사망보고에 대해 인과 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아 모든 국가 예방접종과 일반 예방접종을 23일부터 29일까지 1주일간 유보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힌 바 있다.
8살 딸과 함께 인천의 A 병원을 찾았다가 발길을 돌린 K씨(44)는 “얼마 전까지 독감 백신 예방접종을 했다고 해 (병원에) 아이를 데려왔는데 안 된다고 했다”며 “뭐가 맞는 말인지 몰라 헷갈리기만 하다”고 했다.
본지 취재결과 현재 인천 미추홀구ㆍ서구의 병원을 비롯해 수원시 영통구 B 여성병원 등 경기ㆍ인천지역 일부 병의원들이 자체적으로 독감 백신 예방접종을 오는 30일까지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해 김지훈 수원시의사협회장은 “접종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일선 현장에서는 체감상 접종환자가 지난해보다 50% 이상 줄어든 상태”라며 “원인이 밝혀지기 전까지 백신 접종을 잠시 중단하고 정밀 안전진단을 하는 게 맞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4일 오후 1시 기준으로 독감백신을 접종받은 뒤 사망한 것으로 신고된 사례는 전국 48명이다.
김경희ㆍ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