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지역 대기질이 최근 크게 개선됐다.
대기질 기준을 나타내는 미세먼지 농도가 올해 평균 39㎍/㎥를 보이며 31개 시ㆍ군 가운데 6번째로 대기질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28일 포천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0여년 간 대기질 최악의 도시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었다. 수치상으로도 지난 2015년 대기질은 31개 시ㆍ군 가운데 최하위로 나타났다. 게다가 축사가 우후죽순처럼 들어서면서 악취까지 겹쳐 인구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포천지역은 지대가 높은 분지형태를 띠고 있어 대기오염원이 발생하면 잘 빠지지 않은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청정지역으로 분류됐던 포천 이미지가 크게 실추됐다.
시는 이에 대기오염과 전쟁에 준하는 고강도 환경정책을 시행했다. 시는 대기오염원 차단이 급선무로 판단,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 저감을 위한 단속과 환경개선사업을 병행했다. 지난 2018년 폐기물 불법 소각과 공장 굴뚝, 비산먼지 발생 사업장, 환경오염물질 배출업소 등 1천900여곳을 점검해 500여곳을 적발했다.
지난해는 186건, 올해는 10월 기준으로 116건을 적발했다. 지난해는 대기오염의 주범이 되는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제한의 하나로 3억원을 들여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LET) 시스템을 구축했다.
현재 내촌면 음현리와 소흘읍 등 2곳에 노후 경유차 단속시스템이 설치됐다. 또 지난 2017년부터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LPG 화물차 신차 구입 지원, 매연저감장치 설치 등에 20억여원을 투입했다.
특히 시가 대기질 개선을 위해 100억여원을 들여 소규모 사업장에 환경개선사업을 지원하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방지시설 설치비 지원, 노후 대기방지시설 개선 지원, 유지관리 지원 등 다양한 지원방법은 단속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효과는 수치로 나타났다. 미세먼지는 지난 2015년 65㎍/㎥였으나 점차 줄어 올해는 40㎍/㎥로 평균 이하 수치를 보이고 있다. 초미세먼지는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26㎍/㎥를 보이던 수치가 올해 급격히 줄어 19㎍/㎥를 보였다. 연평균치 15㎍/㎥보다는 높지만, 24시간 평균치 35㎍/㎥보다는 낮게 나타나 환경개선사업이 효과를 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김수경 포천시 환경정책과장은 “대기질 개선은 시만의 노력으로는 불가능하다. 시민의 감시와 기업의 노력이 있어야 가능하다. 앞으로도 대기질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