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앞두고 ‘생활쓰레기 줄이기’ 전쟁에 돌입한다.
3일 시에 따르면 생활폐기물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줄이는 ‘일회용품 제로 도시 인천’을 목표로 일회용품 사용 제한과 재활용 강화 등의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내년부터 모든 공공청사에서 사용하는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하고 친환경 물품을 사용한다. 2022년부터는 민간 영역까지 확대한다.
당장 내년 2월부터는 ‘일회용품 제로 친환경 장례식장’을 시범 운영한다. 이를 위해 시는 인천의료원 장례식장 식기세척실 세척기와 소독기 등의 설치를 지원했고, 이달 중 친환경 장례문화 확산을 위해 인천의료원과 지역 내 대학병원 4곳, 인천환경운동연합 등과 업무협약을 한다.
시는 또 음식물쓰레기 감량기기를 가정에 보급해 1일 687t에 달하는 음식물쓰레기를 2025년까지 1일 655t으로 줄일 계획이다. 무선인식(RFID) 종량기기도 2025년까지 모든 아파트에 보급한다.
시는 생활폐기물 수거 체계 역시 사물인터넷(IoT) 기반으로 전환한다. IoT 기반의 밀폐형 컨테이너 수거용기에 폐기물이 80% 이상 채워지면 수거하는 방식이다. 시는 내년에 아파트와 일반주택 등에 시범 설치한 뒤, 성과에 따라 2022년부터 상가와 관광지까지 설치 대상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낙식 자원순환과장은 “자원순환정책 대전환의 성패는 300만 시민의 손에 달렸다”며 “새로운 쓰레기 줄이기 사업들에 대한 관심과 동참을 바란다”고 했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