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시ㆍ군 방범용 CCTV가 11만7천500여대인 가운데 1인당 감시해야 할 CCTV는 50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백대의 CCTV 속에서 육안으로만 범죄ㆍ사고를 감지하는 건 불가능한 만큼 인공지능 시스템 확대 등 기술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기도는 “지난 9월 기준 도내 방범용 CCTV가 11만7천500여대 설치된 가운데 31개 시ㆍ군에서 관제 인력 699명이 관리, 1인당 모니터링(3교대 기준)해야 하는 CCTV가 504대”라고 12일 밝혔다.
각종 범죄를 예방하고 비상 상황에 즉각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들은 CCTV를 늘리는 추세다. 2018년 8만9천300여대, 지난해 10만8천700여대, 올해(9월) 11만7천500여대 등 매년 8~21% 증가했다. 1대당 설치 비용을 550만원으로 가정할(설치 방식 및 재정 지원에 따라 다름) 경우 관련 예산만 6천400억원 이상이다.
이처럼 막대한 예산이 투입됐지만 도내 총 관제 인력은 699명뿐으로, CCTV 대수만큼 매년 늘어나지 못하고 있다. 용역 업체를 활용하면 인건비 부담이 크고, 공무원을 투입하면 다른 인사 운용에 차질을 빚어서다. 과천시 9명부터 화성시 56명 등 시ㆍ군당 평균 27명이 근무하고 있다. 통상적인 근무 방식(3교대)을 고려해 시ㆍ군별 1인당 모니터링 CCTV 대수를 계산하면 ▲양주시 910대 ▲평택시 883대 ▲남양주시 877대 ▲용인시 819대 ▲수원시 800대 등 1명이 800대 이상을 바라보고 있다. 도내에서 1인당 CCTV 대수가 가장 낮은 가평군도 162대로, 현실적으로 완벽히 볼 수 없는 수준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지자체별로 인공지능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지만 아직 12개 시ㆍ군만이 시스템을 운용 중이다. 해당 시스템은 딥러닝(인공지능 학습 체계) 기반으로 이상 행동(범죄ㆍ사고 등)을 분석, 즉각적으로 CCTV 관제센터에 알리는 기능을 담고 있다. 다만 2018년 남양주시를 시작으로 뒤늦게 도입됐다.
경기도 관계자는 “시ㆍ군별 상황을 고려해야 하지만 수치상으로 CCTV 대응 인력이 부족한 건 맞다”며 “인공지능 시스템을 전 시ㆍ군으로 확대하기 위해 대화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