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메가플랜’ 속속 마무리…남북부 혁신벨트 등 주목

경기도 종합계획 이전 버전(2012~2020) 추진 전략

향후 20년 경기도를 좌우할 장기발전 종합계획들의 초안이 공개됐다. 경기도는 노후산업단지를 남ㆍ북부 혁신벨트 위주로 개편하고, GTX-D노선을 비롯한 고속철도망을 적극 활용하고, 직주(職住)근접을 지향하는 등 대대적인 변화를 예고했다.

경기도 도시주택실은 최근 이러한 내용을 담은 ‘현안사항 사전보고서’를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에 제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조만간 확정될 장기발전 종합계획에 대한 수립 방향을 주로 담았다. 여기에 포함된 2040년 수도권 광역도시계획(경기도, 서울시, 인천시, 국토교통부가 공동으로 20년 단위 수도권의 도시 발전 모델을 제시)은 내년 1월 공청회 개최에 이어 같은 해 상반기 계획안을 최종 승인한다. 2021~2040년 경기도 종합계획(향후 20년 경기도 비전으로 시ㆍ군의 정책 가이드)은 내년 9월 공청회를 열고, 2022년 1월 계획안을 확정 짓는다.

우선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의 추진 전략은 4가지 분야로 나눴다. 이는 ▲광역토지이용 ▲산업ㆍ경제 ▲광역교통 ▲주택 등이다. 광역토지이용에서는 변화된 사회 구조를 반영, 지속가능성을 강조했다. 일방적인 확장ㆍ개발보다는 집중ㆍ관리를 통해 ‘압축적 토지 이용’을 유도하자는 것이다. 구체적인 방향으로는 직주근접이 제시됐다. 일자리가 있는 곳에 주택을 공급하고, 주택이 있는 곳에 일자리를 확충하는 등 역세권 및 기성 시가지 중심으로 개발하자는 내용이다.

산업ㆍ경제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노후산업단지 재생 등을 통한 혁신 여건이다. 경기남부는 ‘제조르네상스벨트(차세대 반도체ㆍ자동차)’, 경기북부는 ‘생활문화벨트(섬유ㆍ패션ㆍ가구)’ 등으로 각각 탈바꿈하자는 것이다. 아울러 외곽 비도시지역에 대한 산업 연계를 통해 수도권 상생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교통 분야에서는 광역교통망의 효율적 확충과 도시 및 교통계획 간 연계를 꾀한다. GTX-D노선을 신설하는 등 수도권 방사축(중심에서 사방으로) 고속철도망을 활용한다는 복안이다. 주택 분야에서는 신시가지 확산이 아닌 기성 시가지 내 주택 공급 등 광역토지이용 분야와 방향을 같이한다. 이밖에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공급기반(공공주택지구ㆍ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 내 공공임대주택 건설비율 상향)도 마련한다.

이어 경기도 종합계획의 부문별 추진 계획은 크게 6가지로 구성됐다. 이는 ▲인구 구조 변화 대응 및 난개발 방지를 위한 성장관리방안 ▲교통ㆍ물류 관련 광역 통행 및 광역 SOC 수요 증가(디지털 물류 및 스마트시티 시범사업 확산) ▲저성장 시대 대비를 위한 권역별 혁신클러스터 구축 ▲낙후지역을 비롯한 불균형 해소(광역 대도시권 육성) ▲GB 훼손 및 녹지 감소 대책(수도권 생태축 설정) ▲자연 재난 대응 등이다.

한편 도가 이날 보고한 종합계획 중에는 제4차 수도권정비계획(2021~2040)도 있다. 해당 계획은 지난 12일 전문가 토론회(국토연구원 주관)를 통해 초안이 공개됐다. 초안에는 ‘수도권 역차별’에 대한 보완책으로 ‘권역 체제 변경 검토’가 포함, 경기도가 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접경지역 성장촉진권역’의 신설 가능성이 커졌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