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경기교육] 21세기 미래 교육...‘그린 스마트 스쿨’

21세기 인류의 주요한 과제 중 하나는 ‘어떻게 파괴되는 환경을 지켜나가고 되돌릴 수 있을 것인가?’이다. 이 가운데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어떻게 줄이는 것이 중점이다.

특히 파리협약체결과 시행으로 인해 이제는 선진국 외에도 모든 국가에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의무가 부여된 상황이다. 우리나라도 예상 배출량의 35%를 감축해야 하는 의무를 가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우리 일상의 작은 부분부터 조금 더 환경을 생각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그중에서도 현재 정부가 감축의 중심이자 또 다른 사업 중 하나로 생각하는 정책으로 보이는 부분이 ‘그린 스마트 스쿨’이다.

그린 스마트 스쿨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해 학생들에게 지금의 획일화 된 모습의 학교에서 벗어나 21세기적인 미래 지향방향의 학교로 나아가려 하는 것이 사업의 기본 기조다. 현재 학교들의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부분은 시설의 노후화, 획일화된 학교의 구조, 그리고 열약한 디지털 교육 환경 등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이 정책을 통해 환경적인 영향을 고려하는 것과 동시에 4차 산업과 미래 사회에 대비한 인재들을 양성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해당 사업의 핵심으로 꼽히는 부분은 ‘공간 혁신’과 ‘제로에너지 스쿨’인데, 이 두 개념을 통해 그동안 제대로 사용되지 못하던 시설들을 미래형에듀 테크 기술과 접목시켜 학생들에게 지금까지 제공되지 못했던 새로운 교육의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옥상의 태양광 시설, 지열 시스템 등을 통해 현재 학교의 문제들에 직접적으로 해결하려는 모습이다. 해당 사업을 위해 정부는 약 18조5억원의 예산을 투입, 이후 몇 년간 사업 대상 학교를 선정하고 이후 미래 학교 추진단, 사업 추진 센터 등을 설치해 본격적으로 그린 스마트 스쿨 사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사업의 취지는 굉장히 좋다고 생각한다. 학생 입장에서 느끼기에 현재 학교는 학교가 학생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는 데에는 부족한 점이 분명히 존재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특히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부분 역시 학교에 친환경 에너지 시설을 설치한다면 분명히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아직 시작 단계인 사업이기에 무엇보다도 사업의 구상을 꾸준히 발전시켜나가며 로드맵을 사업의 종료 시까지 따라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큰 예산이 들어가고 국가적인 환경과도 직결돼 있는 사업이기에 신중한 생각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 만약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끝난다면 어쩌면 지금까지 제기되고 있는 학생들의 교육적 부족함을 채워줄만한 훌륭한 사례가 될 수 있다.

정석윤 고양 안곡고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