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 2021 인천교육 4대 역점정책 제시

‘인천형 AI교육’ 등 미래교육 환경 구축 집중

인천시교육청이 2021년 에듀테크를 기반으로 한 미래교육 환경 구축에 집중한다.

시교육청은 8일 정보센터 대회의실에서 2020교육전문직원 워크숍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 인천교육 역점정책’을 발표했다.

시교육청은 우선 교육과 정보통신기술을 결합한 에듀테크를 기반으로 미래교육 환경을 만든다. 코로나19 등으로 비대면 등 달라지는 교육환경을 반영한 정책이다.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일선 학교에 AI 수업모델을 적용하는 등 인천형 AI교육을 추진한다. AI교육을 이끌어갈 전문교원을 양성하며 공간 혁신, 노후시설 개선 등을 통해 ‘그린 스마트스쿨’도 추진한다.

또 동아시아시민교육을 토대로 미래형 공립학교 모델도 개발한다. 일반고·특수목적고·특성화고 사이의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해 유연하고 개방적인 교육시스템을 만든다. 인천의 특성을 살린 역사, 평화 체험교육을 위해 인천평화학교를 설립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기후위기 대응과 인천형 생태 환경 교육에도 힘쓴다. 쓰레기 감축 교육에 초점을 둔 탄소중립학교를 추진하고 채식 선택 급식제도 도입한다. 인천형 생태시민교육과정도 운영한다.

이 밖에 학생교육안전망은 크게 학습안전망과 생활안전망으로 구분해 추진한다. 학습과 돌봄 모두 사각지대를 없애겠다는 목표다.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1개 수업에 교사 2명이 들어가는 ‘1수업 2교사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코로나19로 달라진 미래에 대비해 교육 혁신을 이뤄내는 것이 내년도 교육 정책의 초점”이라고 했다. 이어 “교육 방식와 인프라 전반에서 학습 격차를 줄이고 뒤쳐지는 학생 없이 이끌어 갈 것”이라고 했다.

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