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 하락, 회생신청 기업 감소로 D등급 기업 수·비중 감소
올해 부실징후를 보이는 중소기업의 숫자가 3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의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이 157개사로 전년 대비 53개사(25%)가 줄었다고 밝혔다.
정기신용위험평가는 채권은행이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부실징후기업을 선별하고자 실시하는 제도로, 평가등급별(A/B/C/D)로 필요한 사후조치를 수행한다. C, D등급기업(부실징후기업)은 기촉법이나 채무자회생법에 따라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평가 결과, C등급은 66개사로 작년보다 7개사 증가했고, D등급은 91개사로 60개사 줄었다. 대기업은 4개사로 5개사 감소했고, 중소기업은 153개사로 48개사 축소됐다.
대기업은 감소추세가 지속했고 중소기업은 2017년 이후 증가추세에서 3년 만에 감소했다. 코로나19 관련 금융권의 유동성 지원, 그로 인한 연체율 하락, 회생신청 기업 감소로 D등급 기업 수와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신용위험평가 과정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이 충분히 고려됐고, 3분기부터 기업실적이 회복 추세인 점도 반영된 것으로 추정됐다.
업종별로는 금속가공(17개사), 도매ㆍ상품중개(13개사), 부동산(13개사), 고무·플라스틱(12개사), 기계장비(12개사), 자동차(12개사) 등으로 나타났다. 기계장비(△23개사), 전자(△8개사), 부동산(△6개사), 자동차(△5개사) 등 업종이 감소했고, 철강(3개사), 고무ㆍ플라스틱(2개사) 업종은 소폭 증가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2조3천억원(대기업 7천억원ㆍ중소기업 1조6천억원)을 나타냈다. 전체 금액 중 은행권이 1조8천억원으로 대부분(78.3%)을 차지했다. 부실징후기업 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 재분류시,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약 2천355억원 수준으로 추정됐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해선 구조조정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일시적 경영위기 기업에 대해서는 채권은행이 신속금융지원ㆍ프리워크아웃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지원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