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지역 정체성 담은 건축자산 활용방안 찾아 나서

492개 건축자산 보존·활용 계획 수립

인천시가 지역 정체성을 담은 건축자산에 대한 활용법을 찾아 나선다.

30일 시에 따르면 인천 전역에 분포한 492곳의 건축자산의 보존고 활용계획 등을 수립하기 위해 ‘건축자산 보전방안과 진흥구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한다. 건축자산은 문화재가 아니더라도 현재와 미래의 사회·경제·경관적 가치를 지니고, 역사·문화적 가치나 지역의 정체성을 갖춘 건축물 및 공간환경 등을 의미한다.

먼저 건축자산에 대한 점·선·면적 관리 방안을 세운다. 우수건축자산 지정과 관리방안, 도시재생사업과의 연계방안도 찾아 나서며 도시정비사업구역내 건축자산 활용 및 보전방안 등도 연구할 계획이다. 이를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및 건축자산 상세조사(기록화), 전문가와 시민참여 소통 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체계적 보전 및 관리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용역에 지난해 건축자산 기초조사 용역에서 도출한 492개의 건축자산에 대한 구체적인 보전방향도 함께 들여다볼 예정이다. 이어 도시재생과 연결한 점·선·면 단위의 관리계획도 포함해 검토한다.

시는 이번 용역에 12억원을 투입하고, 내년 1월 시작해 2022년 7월 끝낸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중구와 동구에 대한 ‘건축자산 진흥구역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 방안도 검토한다. 산업시설의 기능전환과 이전에 따른 유휴공간 활용방안, 도시계획 및 문화지구의 지원을 위한 시스템 구축, 앵커시설 구축 등 산업유산을 활용한 활성화 계획을 수립한다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건축자산을 활용해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하고, 재생거점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함께 찾는다. 건축자산·도시재생·문화예술·관광산업을 접목해 입체적이고 통합적인 계획을 주요 내용으로 담을 예정이다.

심재정 건축계획과장은 “점·선·면 관리 방안을 마련해 보존 가치가 있는 건축자산과 산업유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용역이다”라고 했다. 이어 “도시정책의 패러다임이 개발에서 보전ㆍ관리 및 재생으로 변화하는 만큼 건축자산을 활용해 ‘경쟁력 있는 자산’으로 만들어나가겠다”고 했다.

이승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