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실내 체육업계 전체로 번지는 휴업 반발...‘방역 거부’ 아니라 ‘정당한 문제 제기’다

실내 체육업계 전체 반발로 이어지는 형국이다. 필라테스피트니스 사업자 연맹은 오늘 경기도청에서 집회를 신고했다. 집합금지 조치 현실화를 촉구하는 9인 집회다. 실내 체육 시설의 유동적 운영을 요구하는 청원도 청와대에 올렸다. 도내 실내풋살장들도 같은 취지의 입장을 내놓고 있다. 스크린골프장, 볼링장, 당구장 등 실내 체육시설 종사자들이 올린 청와대 국민청원만 30여건에 달한다. 앞서 이번 방역 반발의 도화선이 됐던 헬스장의 집단행동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고양의 한 헬스장에서 시작된 ‘오픈 시위’에는 이제 1만2천여곳이 동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들의 주장을 정확히 들어야 한다. 방역 수칙에 대한 집단 반발로 몰면 안 된다. 이익 단체의 밥그릇 챙기기로 보면 더 왜곡이다. 타 업종과의 형평성, 규제의 현실성 등을 감안해달라는 호소다. 헬스장ㆍ필라테스 교습소ㆍ실내 풋살장ㆍ당구장ㆍ볼링장이 태권도장ㆍ골프장ㆍ실외 체육시설과 구별돼야 하는 이유를 이들은 이해 못 한다. 술 먹고 대화하는 술집보다 엄하게 규제되는 것도 받아들이기 어렵다. ‘허용된 시설에는 인원수 제한 등의 규제를 뒀다’는 설명도 이해할 수 없다. 헬스장에도 사람과 시간, 장소를 제한하고 풀어줘야 한다는 주장이다. 불이익의 근거가 불공정하다는 것이다.

형평성 논란에 대해 정부 측도 속 시원히 답하지 못한다. 정부의 방향 설정부터 행정 편의적이었음이 사실이다. 이를 지자체가 구체화하면서 또 한 번 탁상행정으로 틀어졌다. 정세균 총리가 연 이틀 이른바 ‘오픈 시위’에 대한 답을 냈다. 체육시설 운영금지에 대해 형평성 문제를 보완하라고 지시했다. 7일 정부가 대안을 냈다. 8일부터 아동만 실내체육 허용하겠다고 한다. 애들은 숨 안 쉬나. 아니면 애들 비말은 안 튀나. 정도 여부를 떠나 문제가 있음이 인정된 것이다. 사실 작금의 코로나19 행정은 무소불위다. 방역만 내세우면 군사 작전하듯 밀어붙인다. 여기에 문제가 드러나는 것이다.

2020년에 사태가 끝났다면 윽박질러 끌고 가도 됐다. 국민도 그 정도의 희생은 기꺼이 감내할 준비가 돼 있었다. 그러나 2021년으로 넘어왔다. 1년간 견뎌왔던 인내심이 곳곳에서 폭발한다. 자영업자들의 불만도 터져 나온다. 사람이 죽어나가고, 가계가 무너지고 있다. 윽박질러서 될 상황이 아니다. 지원금 몇 푼으로 위로 될 상황도 아니다. ‘오픈 시위’는 그런 우리 모두의 한계 표출이다. 조금의 불이익도 감내하기 어려운 상황에 왔음을 증명하는 현상이다. 방역 거부로 몰지 마라. 진지하게 듣고 응답하라.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