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곳의 섬 도시인 인천시가 ‘한국섬진흥원’ 유치에 손을 놓고 있다. 시가 섬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관리와 경제 활성화를 위해 ‘한국섬진흥원’ 유치전에 뛰어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4일 행정안전부와 시 등에 따르면 행안부는 섬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와 연구 등을 담당할 섬진흥원을 오는 6월께 설립할 계획이다. 섬진흥원은 그동안 행안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이 제각각 집행했던 섬 관련 정책과 예산을 총괄·조정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한다.행안부는 앞서 지난해 12월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목포)이 대표발의한 도서개발촉진법 일부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는 등 관련 법적 기준을 마련했다. 이를 토대로 행안부는 세종시에 임시 조직을 두고 추후 공모를 통해 설립 지역을 결정할 방침이다. 일반적으로 행안부에서 추진하는 공모가 선정까지 1개월여가 걸리는 것 등을 감안하면 섬진흥원 설립 지역 공모는 오는 4월께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행안부는 섬진흥원 설립 준비기획단을 구성한 데 이어 공모 기준 등을 정할 설립위원회 구성도 준비 중인 상태다.
그러나 168곳의 섬(유·무인도)을 둔 시는 섬진흥원 유치에 나서지 않고 있다. 시는 행안부의 섬진흥원 설립 계획만 인지하고 있을 뿐, 설립 지역 공모를 추진한다는 것조차 모르고 있다. 섬진흥원 유치 시 5년간 생산유발 407억원, 부가가치 274억원, 취업유발 279명 등의 경제 효과가 날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인천지역 안팎에선 시가 효과적인 섬자원 활용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섬진흥원 유치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반면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등이 적극적인 유치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전남도는 섬진흥원 논의를 시작한 2015년부터 꾸준히 유치의 당위성 등을 내세우고 있다. 당장 도서개발촉진법 일부 개정안을 발의한 김 의원이 전남 목포시를 지역구로 두고 있는 등 정치권에서도 전남도에 힘을 실어주는 눈치다.
경남도는 지난해 초 팀 단위인 섬발전계를 관련 조직부서로 신설했다. 올해는 조직개편을 통해 섬발전계를 섬어촌발전과로 승격시키려 하는 등 전남도 못지않게 섬진흥원 유치를 위한 노력을 쏟고 있다.
백종빈 인천시의회 부의장(더불어민주당·옹진)은 “관광자원으로도 생태학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는 인천의 섬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섬진흥원 유치는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는 이제라도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섬진흥원 유치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섬진흥원을 유치할 수 있는지 몰랐다”며 “곧 행안부로부터 섬진흥원 공모 계획 등을 확인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어 “비록 전남·경남보다는 늦었지만 섬진흥원을 유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조윤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