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교육 환경이 크게 변하면서 학습결손에 따른 중도포기자 발생 우려가 나오자 산학연이 연대해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8일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회에 따르면 의회는 최근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기도 초중고 학생들의 교육실태 조사 및 정책적 지원 방향 연구용역’을 마쳤다. 해당 연구를 진행한 연구진은 학습 중도포기자 등을 위해 ▲학급 규모 최적화 ▲교사 정원 확충 ▲블렌디드 러닝 수업(온ㆍ오프라인 병행 수업) 인프라 정비 ▲교과수업 외 교육활동을 위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구진은 경기도 초중고생 절반이 가족 등 학습 조력자에게 별다른 도움을 받고 있지 못하고 있는 만큼 학력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별도의 지원책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자기주도 학습 수준이 낮은 부분에 대해선 아이들의 호기심과 책임감을 이끌 방안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연구책임자인 한지영 안양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급격히 확산하고 있는 시기에 조사가 이루어졌는데도 학원을 가지 않는 학생 비율은 25%에 불과해 공교육의 빈 공간을 사교육이 빠르게 메워가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어느 때보다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에 기반한 학습 몰입이 강조되고 있는 만큼 교사가 학생들을 위한 자료를 개발해주기를 희망한다는 답변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학습을 위한 공간으로 학교만 한정 지어 교육 정책을 수립하기엔 이미 멀리 왔다. 교육부가 획일적으로 제시해주는 교육 패러다임을 과감히 탈피해 산학연이 함께 하는 정책 개발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의회도 ‘학교 밖’ 단체와 연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도적으로 모색해보겠다는 계획이다. 남종섭 경기도의회 교육행정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용인4)은 “이번 연구용역 보고서를 토대로 향후 경기지역 포스트 코로나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 정책적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연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