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 최초로 도입될 신개념 교통수단인 ‘동탄 트램’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경기도는 ‘동탄 도시철도 기본계획(안)’을 확정하고 지난 22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에 승인을 신청했다고 24일 밝혔다.
‘동탄 도시철도’는 동탄2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의 하나로 추진되는 사업으로, 총 9천773억원을 투자해 ▲수원 망포역~동탄역~오산역 ▲병점역~동탄역~차량기지 2개 구간에 걸쳐 트램을 도입하는 사업이다.
기본계획(안)을 보면 정거장 수는 망포~오산 구간에 19개, 병점~동탄2 구간에 17개 등 36개로 총연장은 34.2㎞에 달한다. 주요 교통수단과의 환승은 망포역(분당선), 오산역ㆍ병점역(1호선), 동탄역(SRTㆍGTX-A) 등과 연계됐다. 이에 따라 동탄신도시 주민은 서울 삼성역까지 평균 35분대에 도달할 수 있다. 또 당초 구상에 없던 수원 망포역~화성 반월동 구간(1.8㎞)의 노선 연장이 시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반영됐다.
‘동탄 도시철도’에 투입될 트램은 1편성 5모듈로 246명이 탑승할 수 있다. 구체적인 트램 차량시스템(배터리 방식, 수소 연료전지 방식 등)과 정거장 형식(개방형, 폐쇄형)은 향후 기술개발 동향을 고려하고 주민 및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설계단계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도는 이번 계획안을 위해 지난해 2월 화성ㆍ오산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타당성 평가와 계획수립을 위한 용역을 진행해왔다. 또 화성ㆍ오산ㆍ수원시가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전문가와 관계기관의 의견을 수렴했으며 공청회 등의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이행해 10개월 만에 이번 기본계획(안)을 도출했다.
기본계획(안)이 올해 상반기 중 대광위로부터 승인ㆍ고시되면, 기본 및 실시설계 등의 절차를 거쳐 이르면 2027년 개통을 목표로 2023년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화성시는 설계와 건설 및 운영을 주관하고, 오산ㆍ수원시는 적극 공조하기로 했다.
이계삼 경기도 철도항만물류국장은 “기본계획 수립과정에서 재원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관계기관의 협조와 합의를 통해 기본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다”며 “동탄 트램이 도내 최초로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동탄신도시의 품격을 높이고, 유럽형 보행 친화도시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