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도심 인구 불균형 발상의 전환으로

통계청과 인천시 등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19년까지 15년간 경제자유구역으로 순 유입한 인구는 30만2천380명이다. 이 중에서 기존 원도심에서 유입한 인구는 18만3천65명으로 60.5%에 달하고 나머지는 서울과 경기도 등으로부터 유입한 인구다. 경제자유구역 개발로 인해 원도심의 인구가 대거 유출해서 신도시와의 인구 불균형을 심화시킨 결과를 보여주는 통계이다.

인천시는 이러한 결과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혁신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은 2003년 정부가 추진하는 동북아시아 경제 중심 실현 전략의 핵심지역으로 지정하면서 본격적으로 개발됐다. 송도, 영종, 청라 3개 지역으로 나누어 각각 국제도시를 목표로 개발 조성하는 대규모 자족형 도시다. 각각 도시의 계획인구가 25만3천명, 16만9천명, 9만명으로 전체 51만2천명이다. 계획이 순조롭게 마무리되면 20만명을 추가로 빨아들이는 인구유입의 블랙홀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인천 원도심으로부터의 인구유입 비율을 고려하면 원도심 인구의 12만명 이상이 유출하여 송도 등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가장 주거 여건이 열악한 원도심의 중구와 동구의 인구 전체를 능가하는 규모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지정과 조성은 인천의 발전에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산업구조를 혁신적으로 개선하며 제조업 중심의 회색 도시 이미지를 벗어나게 하고 양질의 대규모 주택을 공급하면서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했다. 도시 전체적으로 주거서비스 수준을 향상하기도 했으나 원도심과 신도시 간의 양극화 문제라는 새로운 과제를 낳았다. 경제자유구역의 개발로 인한 인천시의 양극화 문제는 단순한 도시생태계의 순환으로 치부하기에는 그 정도가 심각하고 원도심 주민의 박탈감을 낳고 위화감을 유발하는 등 치명적인 도시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인천시가 이미 예견된 문제들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 탓이다.

경제자유구역의 구상과 개발에서 과도한 주거시설 공급을 지적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분양 사업성만 고려한 것이 그 시작이었다.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계획으로 성공적인 마무리가 중요하지만, 원도심과 상생하는 인천시의 혁신적인 대안과 과감한 실천이 필요한 시점이다.

원도심의 인구가 유출하는 현상을 원도심 재생의 전화위복 기회로 삼아야 한다. 단순한 인구유입을 위해 재개발 등을 통한 대규모 공공주택의 공급이라는 단순한 정책에서 탈피해야 한다. 원도심에 새 아파트를 공급해봐야 주변의 생활여건에서 신도시보다 경쟁력이 낮아 매력적으로 인구를 끌어들일 수 없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대신 신도시가 가지지 못한 장점을 극대화하고 인구가 유출한 빈집과 유휴 공간 등을 생활여건의 정비에 동원하는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책의 전환은 구호가 아닌 실천이 우선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