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과도한 통행요금 논란이 일고 있는 일산대교의 통행료 조정을 위해 일산대교㈜와 협상에 들어간다.
경기도는 이번 협상에서 통행료 조정은 물론 도가 일산대교를 인수하는 방안도 논의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지사는 15일 일산대교 톨게이트에서 열린 ‘일산대교 통행료 개선을 위한 현장 간담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말했다.
이 자리에는 이 지사를 비롯해 윤후덕(파주갑)ㆍ박정(파주을)ㆍ이용우(고양정)ㆍ김주영(김포갑)ㆍ박상혁(김포을)ㆍ한준호(고양을)ㆍ홍정민(고양병) 의원, 김지연 국민연금공단 인프라투자실장, 김응환 일산대교㈜ 대표 등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일산대교 통행료가 과도하게 높다는 경기 서북부 지역 의원들의 성토가 쏟아졌다.
박상혁 의원은 “다리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너도 타봐라’라는 캠페인을 진행할 정도로 울분에 가득 차 있다”면서 “김포, 파주, 고양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만들어놓고 그에 대한 교통대책이 세우지 않았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박탈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고 지적했다. 홍정민 의원 역시 “지역 주민들이 경기 서북부 지역의 교통인프라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교통기본권 측면에서 접근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재명 지사는 “국민연금이 투자사업을 통해 연금의 내실화와 건전화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일부 주민들에 대한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제일 좋은 것은 일산대교를 경기도가 인수하는 것이며 그렇게 한다고 해서 투자자들한테 손해를 끼치자는 생각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일산대교의 실질적 운영을 맡은 김지연 국민연금관리공단 인프라투자실장은 “국민연금은 국민 노후자금이기 때문에 수익성 증대 원칙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재구성 방안이 제시된다면 경기도와 기본적으로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일산대교는 한강을 사이에 둔 고양시 법곳동과 김포시 걸포동을 연결하는 길이 1.84㎞ 규모로 건설됐다. 민간자본이 투입돼 2008년 개통 당시 민간사업자가 30년간 통행료를 받기로 협약했다. 현재 통행료는 경차 600원, 소형(1종) 1천200원 등이며, 1㎞당 이용료는 667원으로 고속도로 평균(49원)보다 10배 이상 비싸 통행료를 낮춰야 한다는 지적이 지속돼 왔다.
이광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