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오포읍에 공사 중인 도로가 문제다. 오포읍 문형리 시도 15호선 능평교차로~오포물류단지 구간이다. 대형 덤프트럭, 버스, 승용차 등이 어지럽게 뒤엉켜 있다. 도로 옆으로는 PE 드럼이 세워져 있지만 각종 공사 자재 등이 무질서하게 적치돼 있다. 운전자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하루 이틀 이런 게 아니다. 호소도 여러 번 했다. 그런데도 고쳐지지 않는다. 불가피한 불편이라는 답만 나온다.
주변에 공장이 몰려 있다. 대규모 장묘시설도 있다. 주택과 상가도 많다. 만성 체증에 시달렸다. 확·포장 공사가 불가피했다. 2018년 3월 착공했다. 3년째다. 그 기간 계속 반복되는 민원이다. 광주시는 속 시원한 답을 해주지 못했다. 실제로 광주시 관계자가 본보에 밝힌 얘기도 그렇다. “영업용 차량을 제외하고는 경찰서 심의 등을 거쳐 교통단속구간으로 지정돼야 스티커 발부 등 단속에 나설 수 있다.” 현행법상 한계를 설명하고 있다. 강제 수단을 동원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지속적인 계도 등을 통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해 나가는 한편, 사전 도로 준공과 CCTV 설치 가능 여부 등도 관련 부서 등과 협의하겠다.”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알아보겠다는 뜻이다.
하루 이틀 문제가 아니다. 3년째 받는 고통이다. 만일 시청 앞 도로가 3년째 이렇게 난장판 됐어도 이랬겠나. 지속적인 계도를 하겠다고 했는데, 3년 동안은 안 했다는 얘기인가. CCTV 설치가 충분치 않다는 언급도 어이없다. 크고 작은 사고와 마찰이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곳이다. 샅샅이 살필 수 있는 감시망이 당연히 구비됐어야 옳다. 모두 공사 초기부터 갖춰졌어야 할 행정이다. 그런데 안 됐다. 결국, 지금 상황까지 왔다.
광주시가 밝힌 2021 시정 방향을 보자.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한 청사진이 있다. 교통량 분산과 사통팔달의 교통망 구축을 선언했다. 성남~장호원 진출입 램프 설치, 광주 TG 교차로 개선, 신현리 우회도로 신설, 회덕~직동 순환도로망 구축 등 여럿이다. 주차난 해소를 위한 대규모 시설 투자도 공개했다. 경안동 제2공영주차장, 엄미리 공영차고지, 경안ㆍ곤지암 근린공원 공영주차장 조성이 핵심이다. 여기에 거는 시민 기대가 크다.
그런데 현재를 챙기는 배려 있는 행정은 아쉽다. 오죽 답답하면 민원 넣고 제보하겠나. 단속 근거 없다고 손 놓을 일 아니다. 더 뒤져보면 찾을 수도 있다. 말로만 요구하는 계도로는 안된다. 주정차를 근본적으로 막을 시설을 현장에 설치해놓고 말해야 한다. ‘몇 년 있으면 공사 끝나니 그때까지 참고 살라.’ 이런 건 시민 행정이 아니라 공사 행정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그 현장을 지나는 광주 시민들의 생각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